기가바이트 메인보드 A320M-H-CF에서 M.2 SSD 인식 안되는 문제 해결 방법
- IT/IT
- 2025. 1. 20.
기가바이트 A320 MH 보드는 메인 보드에 M.2 SSD 디스크 칩을 수평으로 부착해야 하는 보드입니다. 기가바이트 A320 MH 보드는 메인 보드에 M.2 SSD 디스크 칩을 수평으로 부착해야 하는 보드입니다. 킹스톤 120기가 M.2 SSD를 구입해 부착했지만 부팅 시 인식 문제로 상당히 오래 지나야 부팅이 완료되는 증상이 있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CMOS에서는 잡히지만 윈도우에서는 디스크 관리자에서도 잡히지 않는 오류가 있으며 제어판의 장치 관리자에서는 nvm 드라이버가 노란색 느낌표로 표시되는 오류를 보였습니다. 당연히 우클릭 후 드라이버 업데이트 또는 삭제 후 재설치 같은 방법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습니다.
디스크 관리자에서 디스크 0 및 디스크 1이 존재해야 하지만 디스크 1(킹스톤 M.2 SSD)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당연히 내 PC에서도 보이지 않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했는데 구체적으로는 어떤 부분이 이 문제 해결에 관여했는지는 확실하지는 않습니다. 두가지의 방법을 시도한 다음 반나절 정도 컴퓨터를 꺼두었는데, 다시 켰을 때 모든 문제가 해결되어 있었습니다.
시도한 두가지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윈도우 업데이트
윈도우윈도 11 프로 버전을 새로 설치하였으며, 윈도 업데이트를 업데이트가 있을 경우 즉시 반영에 체크한 다음 더 이상 업데이트할 내용이 없을 때까지 업데이트해 주었습니다.
2. 바이오스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320 MH Rev.1 버전충 현재 최신 버전인 F58d 버전(2024년 9월 24일)으로 업데이트해 준 다음 CMOS 셋업으로 진입해 CPU 상세 설정에서 SVM 모드를 꺼주었습니다.
위의 두가지 방법을 진행한 다음 충분한 백그라운드 업데이트까지 진행될 수 있도록 대략 3-4시간 정도를 절전 모드를 해제한 상태에서 켜두었습니다.
그다음 다시 컴퓨터를 반나절 정도 꺼두었다 다시 키니 부팅 시 상당히 지체되던 문제가 해결된 듯하게 빠르게 부팅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느낌이 이상해 디스크 관리자를 들어가 보니 역시나 예상했던 대로 새로운 디스크를 인식하고 있어 사용할 수 있도록 우클릭으로 잡아 주었습니다.
이후 윈도우에서도 아래와 같이 정상적으로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현재 상태를 CPU-z 설치 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제어판의 장치 관리자 부분에서도 드라이버가 잡힌 모습을 보여줍니다.
디스크 관리자에서도 역시 제대로 잡혀 있습니다.
'IT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팀 설치시 오류 : MarkAny 관련 오류후 설치 중단 간단 해결 방법 (0) | 2025.01.14 |
---|---|
마이크로소프트 앱 스토어에서 구입앱, 다운로드앱 찾는 방법 (2) | 2024.12.03 |
윈도우 11에서 윈도우 자체의 Hyper-V 가상머신에 윈도우 10 설치 (5) | 2024.11.05 |
Hyper-V 기능의 의미와 기능을 끄거나 켜는 방법 (0) | 2024.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