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파일은 메모장과 같은 텍스트 에디터로 만들 수 있고 나모 웹에디터나 드림위버, RedActor, Ckeditor 등과 같은 위지윅(WYSIWYG) 에디터로도 만들 수 있습니다. 텍스트 에디터는 HTML 태그를 입력하면서 편집을 해야 하는 반면 위지윅 에디터는 웹브라우저상에서 보여지는 형태로 편집이 가능하기에 보다 직관적인 작업이 가능합니다. 즉 텍스트 에디터는 메모장을 이용해 직접 소스코드를 수정해가며 결과물을 봐가면서 제작하는것과 같은 방식을 말합니다. 텍스트 에디터로는 에디트 플러스, 아크로 에디터, 크림슨 에디터, 노트패드 ++,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등이 있습니다. “위지위그(WYSIWYG: What You See Is What You Get, “보는 대로 얻는다”)는 문서 편집 과정에서..
HTML이 무엇인가를 설명하는 것보다는 HTML 파일을 직접 만들어 보는 것이 개념을 이해하는데 훨씬 도움이 됩니다. 그래서 우선 HTML 파일은 무엇으로 만드는지 부터 설명하면서 홈페이지 기초 강좌를 설명하겠습니다. HTML 파일은 메모장으로 간단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메모장을 이용하여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형식에 맞도록 태그를 작성하여 *.html(혹은 *.htm)이라는 확장자로 저장하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홈페이지 HTML 소스코드는 전통적인 방법은 메모장으로 작성하는것입니다. 수많은 웹페이지 작성의 가장 기본은 메모장을 이용한 소스코드편집, 그리고 이를 통한 실제 눈에 보여지는 웹페이지의 제어 입니다. 이제 메모장을 열어 실습을 해보겠습니다. 메모장을..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