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의 국내 검색엔진별 점유율에 관한 자료는 인터넷 트렌드 자료를 참조하여 작성하였습니다.최근 3년 치를 나란히 두고 보니 다음이나 MS 빙, 줌 등의 존재감은 미미하고 네이버와 구글의 양자 대결로 가는 모양새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이버의 점유율은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관전 포인트는 아주 조금씩 매년 네이버의 점유율을 구글이 가져오는 추세가 있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지만 작년과 올해는 변동폭이 적은 편으로 보입니다. 또한, 미세하게나마 MS 빙의 점유율이 조금씩 올라가고 있는 것이 보이는데 아마도 계속해서 엣지 브라우저 업데이트 버전을 출시하는 등의 노력에 대한 대가가 아닌가 싶습니다. 1. 2022년 10월 한달 평균 2. 2023년 10월 한달 평균 3. 2024년 1..
요즘 챗 GPT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이 너무 과도한 것 아닌가 싶을 정도로 뜨겁습니다. 학생들에게 과제로 주어진 프로그래밍 숙제를 챗 GPT에게 대신 짜내게 했더니 훌륭한 결과물이 나왔다던지, 이를 이용해 해커들이 악성 프로그램을 짜는데 이용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던지 하는 부분은 역으로 생각하고 응용한다면 그러한 부분 쪽으로의 발전 가능성이 보입니다. 하지만 검색 엔진의 대체라는 부분만 놓고 본다면 구글은 곧 챗 GPT에게 무너질 것 같다는 등의 반응은 과민반응을 보이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구글을 코닥이 디지털 카메라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해 실패한 케이스를 따라갈 것이라고 보는 견해도 보았는 데, 이 또한 잘못된 견해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검색 보조수단으로 AI를 응용하려는 시도는 다소 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