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1이나 TPM을 요구하는 게임 등에서 요즘은 UEFI Secure Boot, TPM 등을 활성화할 것을 요구합니다. 이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다면 진행 중인 작업을 계속할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LG 계열의 노트북같은 경우는 조금 바이오스 구성이 특이해 혼돈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Secure Boot Option은 TPM과는 무관한 설정이라는 점입니다. 2014년 이후 출시된 UEFI BIOS 설정 오류, 윈도우 시스템 파일 또는 파티션의 손상, SSD 또는 HDD 등의 저장 장치의 손상 등에 의해 Boot menu만 나오고 윈도우로의 진입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아래의 방법을 진행하면 됩니다. 1. 피닉스 바이오스 모델 PC 시작 시 F2 키를 눌러 바이오스 화면으로 진입한..
윈도우 작업 표시줄의 알림 영역에는 배터리 아이콘을 표시하거나 표시하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에 관한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순서대로 작업을 진행합니다. 윈도우 작업 표시줄에서 마우스 우클릭한 후 가장 하단의 작업 표시줄 설정을 클릭합니다. 그다음 우측의 항목 중 알림 영역이라는 항목에 있는 링크 글씨 중 아래쪽에 있는 '시스템 아이콘 켜기 또는 끄기'를 클릭합니다. 시스템 항목들을 켜거나 끄는 설정이 가능한 알림 영역 설정 페이지에서 전원 항목을 찾아 스위치를 눌러 전원을 표시하게 하거나 표시하지 않게 설정합니다. 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작업 표시줄의 알림 영역에 배터리 아이콘을 표시하게 할 수 없는 시스템인 경우 아래의 순서를 진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윈도우 작업표시줄의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