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개체에 대한 사용권한이 할당되지 않았습니다." 오류는 분명히 파일이 존재하는 데에도 불구하고 해당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편집하거나 수정하는 것이 되지 않는 오류를 보이는 드라이브나 폴더의 속성에서 발견할 수 있는 메시지입니다. 이렇게 권한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폴더나 드라이브에는 파일을 저장할 수는 있지만 연결된 앱에서 불러오지는 못하는 애매한 오류가 일어나게 됩니다. 저의 경우에는 랜섬웨어 감염 후 일어난 증상으로 동영상을 녹화한 후 해당 폴더에 저장했으나 동영상 플레이어에서 불러오려고 할 경우 연결할 수 없다는 오류가 나오면서 재생할 수 없었습니다. 이 문제를 일으키는 폴더에 관리자 권한을 할당하여 문제를 해결하였습니다. 이렇게 랜섬웨어 감염이후 나타나는 권한 분해 현상이 힘든 이유는 최상위 드라..
랜섬웨어에 감염되고 나면 완전 디스크 포맷이 아닌 데이터 보존 형식을 통해 윈도우를 재설치하더라도 한번 암호화되었던 파일들은 삭제조차 불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특히 보존할 데이터가 아닌 일반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바탕화면에 있는 바로가기들이 하얀색으로 변하면서 보기 흉하게 남게 됩니다. 이와 같이 랜섬웨어에 감염된 후 남은 암호화된 파일들은 Unlockr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다음 쉽게 삭제할 수 있는 데, 이러한 방법은 삭제 안 되는 파일들의 강제 삭제에 관하여 다른 대부분의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랜섬웨어에 의해 손상된 바로가기 아이콘들은 윈도우 권한 설정을 복작하게 일일이 수정하면 삭제할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시간도 오래 걸리고 복잡합니다. 그래서 쉽게 원클릭으로 삭제할 수 있는 프로그..
이전에 일어난 몇 번의 경험은 모두 바이러스였습니다. 제가 걸린 랜섬웨어는 레빌 소디노키비(REvil/Sodinokibi) 종류로 아직까지는 데이터 해독 패치 프로그램이 출시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랜섬웨어를 직접 겪어 보니 확실한 차이를 알겠습니다. 랜섬웨어는 바이러스 감염때처럼 PC가 전체적으로 먹통이 되거나 부팅 불가능 상태가 되지는 않습니다. 랜섬웨어라는 이름이 Ransom(몸값)+Ware(소프트웨어)의 조합인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시스템을 못쓰게 만들거나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주로 데이터가 담겨있는 이미지, 텍스트, 비디오, 문서 등의 파일 위주로 암호화한 다음 자신들의 랜섬웨어 이름을 확장자로 붙여버리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각 폴더마다 텍스트 문서를 넣어서 비트코인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