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도로 건설 관련 법규로는 도로법, 고속국도법, 한국도로공사법, 유료도로법, 사도법 등이 있으며 북한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도로법이 있습니다. 도로 운영과 관련된 법규로는 우리나라는 도로법, 도로교통법, 교통안전법 등이 있으며 북한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도로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도로교통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차량운수법 등이 있습니다. 위의 관련 법령들에서 쓰이는 용어를 중심으로 남북한의 교통관련 용어를 비교해 보면 재미있는 용어들이 많이 있어서 열거해 보았습니다. 먼저 남한의 용어를 쓰고 괄호안에는 북한의 용어를 열거하였습니다. 가속페달 (가속기 디디개) 가시거리 (보임거리) 갓길 (오솔길) 건널목 (철길건늠길) 검문소 (차단소) 견인차 (끌차) 경광등 (색동신호장치) 경보기 ..
통계는 아마도 최초의 시작은 순수한 목적에 의한 좀더 나은 인류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시작되었으리라 봅니다. 예를 들자면 이러이러한 공사를 해볼려고 하는 데 다른 나라나 지역에서 비슷한 공사를 하고 결과는 어땟는지에 관한 통계자료같은 것이 있으면 좋겠다는 식의 바램말입니다. 하지만 요즘의 현대시대에서 통계는 까다롭고 합리적인 조건하에 합법적이고 공평한 과정을 거쳐 작성된 것이 아니면 특정집단의 자기부패 합리화용으로 전락하기 일쑤입니다. 이른바 통계의 오류를 자기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하게 만들어 얻어낸뒤 일반인들의 세심한 주의가 아니면 잘 알 수 없는 그런 결과를 공공의 통계인 양 발표하곤 합니다. 통계의 오류의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면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흔한 예로 "교..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