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표시의 오류 같은 경우는 다른 윈도 오류들과는 조금 성격이 다르게 미세한 옵션 설정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윈도우 오류로 인해 언어팩이 손상되거나 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기 때문입니다. 만일, 윈도우 기본 앱 등이 한글이 아닌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의 외국어로 표시되고 있다면 아래와 같은 윈도우 설정들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윈도우 종류가 윈도우 11인 관계로 윈도우 11의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을 진행하지만 기본적인 방법은 윈도우 10 또는 그 이하 버전까지 모두 동일합니다. 1. 언어 설정에서 한국어로 설정 윈도우 시작 로고 버튼을 마우스 우클릭한 다음 설정을 클릭합니다. 윈도우 설정 > 시간 및 언어 > 언어 및 지역 > Windows 표시 언어가 한국어로..
한컴 한글 워드 타이핑 도중 몇초간 입력이 없을 경우 프롬프트 아래로 검은색 배경에 가 또는 A라고 써진 사각형이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한컴 오피스 2020에서 새롭게 추가된 기능으로 현재 입력중인 입력기의 언어를 표시해 주는 기능입니다. 만일 영문 타이핑이라면 아래의 이미지와는 다르게 A라는 식으로 영문 입력중임을 알려 주는 표시가 뜨게 됩니다. 현재 입력중인 입력기가 한글인지 영문인지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편의 기능이지만 경우에 따라 이 기능이 오히려 작업 몰입도를 방해하여 신경이 거슬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 기능을 제거하려면 상단 메뉴의 도구 > 환경 설정으로 들어간 다음 기타 탭을 클릭합니다. 기타 탭에서 '입력기 언어 표시' 부분의 체크 표시를 해제한 다음 설정..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