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 디스크의 현재 상태를 체크해 주거나 구동 방식, 용량, 제조사, 모델명, 펌웨어 버전, 시리얼넘버 등 하드 디스크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는 프로그램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CrystalDiskInfo 9.50 포터블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그램으로 빠르게 하드 디스크의 상태가 건강한 상태인지 알려주며 기타 관련 정보를 보여주고 텍스트 문서로의 저장이 가능합니다. 하드디스크 상태 또는 성능 점검에 최적화된 프로그램으로 보입니다. 아래의 파일은 현재 최신 버전인 9.5 버전 무설치 파일로 압축을 해제하고 32비트 윈도우인 경우에는 diskinfo32를 64비트 윈도우인 경우에는 diskinfo64를 실행해 주시면 됩니다. 2. HDDExpert 1.20.1 포터..
하드 드라이브의 발전 속도는 점점 가속화되고 메인보드 슬롯에 연결되는 하드 드라이브의 종류에 따라 연결해 주는 매체와 슬롯 생김새 등은 매우 다양해져 가고 있습니다. 자신의 메인보드 슬롯에는 어떤 형태의 하드 드라이브까지 추가가 가능한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1. IDE HDD SATA 방식의 하드 드라이브가 나오기 이전 방식의 구형 플래터 방식인 3.5인치 IDE HDD의 생김새와 전원 케이블 및 데이터 케이블 생김새입니다. 2. SATA HDD SATA 방식의 HDD는 1, 2, 3 버전으로 발전했지만 사타 포트의 규격은 변동이 없어 동일한 케이블 규격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위 호환 방식으로 보드나 케이블 여부에 상관없이 부품들을 사용할 수 있으나 메인보드의 지원 규격에 하위 호환되..
예전에 주류를 이루었던 플래터 방식 디스크인 HDD(Hard disk drives)와 메모리 방식 디스크인 SSD(Solid state drives) 사이의 입출력 속도는 얼마나 차이가 날까요? 당연히 더 좋은 품질인 SSD가 가격적으로 비싸야 맞겠지만 현재는 거의 동일한 수준이고 역전현상까지 일어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미래의 대세는 특수한 용도가 아니라면 SSD가 대세가 될 것 같습니다. 동일한 가격이라면 왜 SSD로 갈아타야 하는지 속도 비교를 살펴보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하, 벤치마크 사이트의 자료를 참조하였습니다. IOPS는 저장장치의 속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초당 데이터 전송량을 블럭크기(단위 데이터의 용량)로 나눈 값을 의미하며, 쉽게 말하면 초당 처리되는 IO(Input/Output)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