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br 태그는 abbreviation(약자, 약어)의 약자로 마우스 오버 액션에 반응하여 해당 태그 부분에 마우스 커서가 이동하면 윈도우즈 도움말 형식처럼 입력해둔 문장이 나타나게 됩니다. 만약 아래와 같은 코드를 입력하였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abbr 태그는 마우스에 반응하여 나타나는 글자를 만들 경우에 주로 사용하며 약자의 해설 등에 쓰입니다. 아래의 내용은 위의 코드를 그대로 소스 코드로 옮겨 넣은 내용입니다. abbr 부분에 마우스 커서를 대면 약자의 내용을 보여주게 됩니다. abbr 태그는 마우스에 반응하여 나타나는 글자를 만들 경우에 주로 사용하며 약자의 해설 등에 쓰입니다. abbr 태그에서는 주의해야 할 점이 있는데 abbr title="내용"에서 내용에 들어가는 텍스트는 공백이나 탭,..
태그는 HTML 소스 안에 표현한 문자 형태 그대로를 표현할 때 쓰입니다. 문자 그대로를 표현한다고 해서 Pre태그 안에 다른 태그를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프리 태그의 가장 큰 특징은 프리 태그 안에서는 띄어쓰기나 줄 바꿈을 할 경우에 별도의 태그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위의 문장을 프리태그에 넣고 줄 바꿈이나 스페이스를 여러 번 넣었다고 가정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프리태그의 가장 큰 특징은 프리태그안에서는 띄어쓰기나 줄 바꿈을 할 경우에 별도의 태그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 입니다. 만약 위의 문장과 같은 줄바꿈과 스페이스가 있는 문장을 프리 태그 없이 넣는 다면 어떻게 보일까요? 아래처럼 줄바꿈이나 스페이스가 모두 무시되어 표시되게 됩니다. 프리 태그의 가장 큰 특징은 프리..
한동안 HTML, CSS, 웹 프로그래밍 등에 관한 기초강좌 연재를 중단했습니다. 다시 약간의 기초 내용을 보충 연재하려고 합니다. 내용의 수준을 저와 같은 기초 레벨로 잡았기 때문에 내용을 이미 알고 계시는 분들이 보면 다소 유치하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 이번 페이지에서는 용어들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많이 듣긴했는데 그게 무엇을 의미하냐고 물어본다면 대답하지 못하는 단어들을 중심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 도메인 : 사용자들이 기억하기 힘든 숫자 형태의 아이피주소를 tistory.com 등과 같이 문자 형태로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 네임서버(DNS) :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도메인을 아이피 주소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예를 들자면 크롬에 www.goo..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