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자체에는 따로 위젯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주요 리소스 모니터링 위젯이 존재합니다.이 기능은 물론 윈도우 시스템 작업 관리자의 성능 모니터링을 통해서도 관찰할 수 있지만 굉장히 광범위하게 자료를 제공해 주며 간단하게 위젯 형식으로 모니터링하는 용도로는 게임바의 성능 모니터링이 낫지 않을까 합니다.아래의 이미지는 윈도우 작업관리자를 실행한 다음 성능 탭을 선택하여 모니터링 중인 이미지입니다. 우측 상단의 3점을 클릭해 리소스 모니터를 실행하고 좀 더 자세한 리소스 흐름을 볼 수도 있습니다. 이제 위젯 형식으로 사용하기에 좋은 게임바의 리소스 모니터링 방법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윈도우 로고키+G 키를 눌러 게임바를 실행합니다.만일, 성능 모니터링바가 뜨지 않을 경우 메인 상단 바에..
ARM(Advanced RISC Machine)은 일반 인텔 CPU계열의 CISC라는 명령어 구조보다는 비교적 간단한 RISC라는 명령어 체계를 사용하는 CPU 체계의 한 형식을 말합니다. 주로, 사물인터넷이나 모바일 안드로이드, 랩탑, 인터넷 모뎀, 디지털카메라, 닌텐도 등에 사용되는 CPU 체계입니다. 다시 말하면 일반적인 데스크톱 PC에는 인텔 CPU나 AMD CPU에 대응해서 x86(32비트), x64(64비트), AMD64(64비트) 등의 CPU 명령체계가 들어가게 되고, ARM용 기기들에는 RISC 명령체계가 들어가게 됩니다. 위의 이미지는 런치패드의 개발보드로 80MHz 32-bit ARM Cortex-M4F CPU가 들어간 보드의 이미지입니다. 원래 Windows 10 (Windows 10..
CPU가 유휴 상태일 때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CPU에 저전력 모드를 시작하도록 명령할 수 있습니다. 각 CPU에는 여러 전력 모드가 있으며, 이러한 모드를 종합적으로 "C-State" 또는 "C-Mode"라고 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C-state에는 그 하위로 C0부터 C6까지 여러 가지 모드가 존재합니다. 1. C0 : 작동 상태 cpu가 완전히 켜지는 상태입니다. 모든 cpu가 해당됩니다. 2. C1 : Halt 소프트웨어를 통해 CPU 기본 내부 클록을 중지하고, 버스 인터페이스 장치와 APIC가 계속 최고 속도로 실행됩니다. 486 DX4 이상의 cpu가 해당됩니다. 3. C1E : Enhanced Halt 소프트웨어를 통해 CPU 기본 내부 클록을 중지하고 CPU 전압을 낮추며, 버스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