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plwiz는 보통 윈도우 자동 로그인 설정과 관련해서 거의 필수적으로 필요한 윈도우 핵심 앱 중 하나인데, 특수한 조건에서는 CMD 창에 netplwiz라고 입력해도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제 경우에는 처음보는 이러한 현상이 보통 계정 암호와 PIN 번호 옵션 설정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였습니다.그 여파로 자동로그인 설정이 오류가 생겨도 수정할 방법이 마땅치 않았습니다. 아래의 방법이 모든 시스템에 통할지는 미지수이지만 적어도 2주간 netplwiz를 사용할 수 없었던 제 시스템에서 netplwiz가 다시 나타났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보아도 netplwiz가 해당 위치를 찾아보면 파일이 존재하는데 작동하지 않는 이유는 실행파일의 권한배분에 문제가 생긴 것이 아닌가 추측되었습니다..
PC를 재부팅하거나 켤 때 자동으로 로그인되도록 설정된 시스템에서 윈도우 대규모 업데이트 등으로 잠금 화면, 절전 모드 해제 시에 PIN 번호 입력 창이 다시 살아나는 경우의 조치 방법입니다. 윈도우 설정 > 계정 > 로그인 옵션으로 이동한 다음 PIN으로 로그인 부분을 클릭하고 하위 메뉴에서 이 로그인 옵션 제거 항목의 제거 버튼을 클릭합니다. 다음 화면에서 PIN 제거 시의 유의점 등을 나열하며 다시 한번 제거할지 물어보는 창이 열리는데 이때에도 제거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마지막으로 PIN 제거 작업 완료를 위해 윈도우 계정의 암호를 입력해야 합니다.암호를 입력하면 작업이 끝납니다.이제 PC를 재시작하면 잠금 화면에서 PIN 입력 창이 보이던 현상이 제거됩니다. 자동 로그인 암호입..
윈도우에서 귀찮은 핀번호 입력을 PC를 켤 때마다 매번 해야 하는 것에서 벗어나는 지름길은 윈도우 자동 로그인 설정을 구성하여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에 관하여는 이전에 포스팅한 적이 있습니다. 윈도우10 로그인 비밀번호 팝업창 삭제-윈도우 자동 로그인 만들기 그런데 이 옵션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netplwiz를 사용해야 하며, netplwiz를 연 다음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해야 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음' 옵션을 체크 해제해야 합니다. 하지만, 윈도우 업데이트 이후 아래의 이미지처럼 이 옵션이 아예 사라진 경우가 종종 발견됩니다. 그 이유는 윈도우 설정에서 로그인 옵션을 구성할 경우에 Windows Hello에 전권을 위임한 경우 이 옵션 자체가 사라집니다. 윈도우 업그레이드 버..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