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를 윈도우 작업 표시줄에 바로 가기 아이콘으로 등록하는 방법

네이버를 윈도우 작업 표시줄에 바로 가기 아이콘으로 등록하는 방법

바로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유튜브를 윈도우 작업 표시줄에 등록하기와 유사하며 네이버를 등록하는 방법은 유튜브를 등록하는 방법에서 한 단계의 과정만 더 진행해 주면 이 역시 쉽게 가능합니다.

 

 

 

구글 크롬 브라우저의 좌측 상단에 있는 앱 아이콘을 클릭하면 전체 페이지 형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즐겨 찾기 페이지가 열립니다. 대부분은 상단 바에 등록한 즐겨 찾기 등으로 이동하겠지만 구글 앱 스토어라든지 개인적으로 필요한 사이트들은 여기에 앱 형식으로 등록해 두는 것이 편할 수도 있습니다.

 

 

 

해당 앱 바로 가기 아이콘을 기본 설정 그대로 두게 되면 사실 페이지 전체에 등록된 사이트라고는 구글 앱 페이지 7개 정도에 불과해 실용성이 조금 떨어지는 면이 있습니다. 여기에 개개인에게 필요한 몇몇 주요 사이트들을 추가해 주면 좀 더 실용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크롬 앱 바로 가기 페이지에 바로 가기 웹 페이지를 추가하려면 바로 가기 페이지를 앱의 형태로 변경하는 과정을 거쳐 해당 페이지에 위치하게 해야 합니다. 

 

예제를 들어 설명하기 위해 자주 찾게 되는 구글 크롬 확장 프로그램들이 있는 웹 페이지인 크롬 웹 스토어를 이 페이지에 추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크롬 웹 스토어 페이지로 이동한 다음 크롬 브라우저 우측 상단 메뉴의 3점을 클릭한 다음 전송, 저장, 공유 > 페이지를 앱으로 설치를 클릭합니다.

 

 

 

다음으로 팝업 창이 열리면서 한번 더 물어 보는 데, 설치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이것으로 작업이 끝나게 되며 크롬 앱 표시 페이지를 열어 보면 크롬 웹 스토어 페이지가 추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일반 페이지들도 크롬 앱 표시 페이지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테스트를 위해 크롬 앱 페이지에 크롬 웹 스토어 및 네이버의 바로 가기를 등록한 스크린 숏 이미지입니다.

 

 

 

다만, 이 앱 표시 페이지에서 웹 페이지 바로 가기 아이콘을 누를 경우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 형식으로 열리는 것이 아니라 독립된 탭의 형태로 열리게 됩니다. 이는 실제는 웹 페이지이지만 앱의 형식으로 등록된 것이기 때문으로 추정합니다. 

독립된 앱 형식의 단독 탭 브라우저로 보지 않고 열려진 크롬에서 보려면 앱 페이지에서 해당 앱을 마우스 우 클릭한 다음 '창에서 열기'에 되어 있는 체크 표시를 해제하면 됩니다.

 

 

 

 

이 기능이 좋은 것은 즐겨 찾기에 등록되어 있는 특정 페이지만 윈도우 작업 표시줄에 고정해야 할 경우에 위력을 발휘합니다.

예를 들면, 좀 전에 만든 앱 형식의 네이버 바로 가기를 윈도우 작업 표시줄에 마우스 우 클릭하여 고정하면 크롬 브라우저의 즐겨 찾기 중 하나만 고정이 안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를 사용하고 창을 닫아도 네이버 바로 가기는 그대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아래의 이미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등록했던 페이지들을 더 이상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크롬 앱 페이지에서 해당 아이콘을 우 클릭한 다음 제거를 클릭하면 됩니다.

 

위의 과정들을 응용하면 거의 모든 웹 브라우저의 즐겨 찾기는 윈도우 작업 표시줄에 등록이 가능합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