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글 블로거 개별 포스팅의 제목, 부제목, 소제목에 적용되는 H 태그 정리

구글 블로거 개별 포스팅의 제목, 부제목, 소제목에 적용되는 H 태그 정리

구글 블로그인 블로거로 포스팅하다 보면 다소 헷갈리는 부분이 에디터 상단 메뉴 중 단락 형식을 누르면 나오는 H 태그 중 소 제목들에게 어떤 태그부터 적용해야 할지 잘 모른다는 점입니다. 보통 구글 블로거의 기본 테마들 중 하나를 사용한다면 제목 태그에는 h3가 적용되어 있었습니다. 이 이야기는 포스팅 내용 중 가장 큰 제목은 h4 태그인 소 제목부터 만 사용해야 한다는 결론입니다.

 

 

웹 페이지의 제목 부분을 드래그한 상태에서 마우스 우클릭 후 검사를 선택하면 우측의 코드 창에서 볼 수 있습니다.

아래의 데모 페이지 제목 부분을 마우스로 드래그한 다음 마우스 우클릭 검사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우측으로 나오는 코드 영역에서 보이듯 기본 블로거 테마들은 제목을 h3 태그로 설정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구글 블로거의 제목 태그를 기본 테마 기준으로 정리하면 이론상 다음과 같습니다.

 

  • 주 제목 : h3 태그를 사용합니다.
  • 제목 : h4 태그를 사용합니다.
  • 부제목 : h5 태그를 사용합니다.
  • 소제목 : h6 태그를 사용합니다.

 

이 이야기는 기본 테마를 사용할 경우에는 포스팅에 한 개 밖에 존재하지 않는 글 제목이 h3 태그를 사용하므로 글 내용에서 나오는 첫 번째 목차는 무조건 제목을 선택해야 하고 제목은 h3 태그보다 낮아야 하므로 h4 태그를 사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실제에서는 주 제목은 h3, 글 내용의 첫 번째 제목은 h4가 아니라 h2로 적용되는 이상한 모습을 보여 줍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글 내용 중의 제목들 태그를 살펴본 이미지 입니다.

역시, 마우스 우 클릭을 통해 검사에서 살펴보았습니다.

 

 

 

코드의 내용을 종합하면 개별 포스팅의 주 제목은 h3, 글 내용 중의 제목과 부제목은 h2와 h3로 나오는 이상한 모습을 보여주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기본 테마에서 h 태그를 맞추려면 개별 글의 제목(h3) 아래에 본문 중의 목차는 소제목(h4) 만을 사용하던가 아니면 글 제목을 h3 태그가 아닌 h1 태그가 적용되도록 변경해야 합니다.

 

개별 포스팅의 개별 글 주 제목에 h1 태그를 적용하려면 블로거 관리 페이지의 테마에서 Html 편집으로 들어갑니다.

Ctrl+A를 눌러 코드 전체를 선택한 다음 Ctrl+F를 누르고 가장 상단에 entry-title이라고 입력한 다음 엔터 키를 누릅니다.

 

 

 

이렇게 하면 해당 부분을 볼 수 있는 데, h3로 시작하고 닫히는 부분 두 곳의 h3를 둘 다 h1으로 변경해 주고 저장해 줍니다.

 

 

이제 온라인상의 실제 페이지로 이동한 다음 글 제목을 선택한 다음 우클릭 후 검사를 진행해 코드를 살펴보면 h1 태그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글 내용의 본문 내에서 목차들을 주 제목 바로 아래의 제목부터 부제목, 소제목 모두를 사용하더라도 자연스럽게 h1, h2, h3, h4로 흘러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구글 블로거의 기본 테마를 사용할 경우에 제목 태그들을 정리하는 방법에 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기본 테마가 아닌 외부에서 제작된 테마들의 경우에는 처음부터 포스팅 제목에 h1 태그를 부여하여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