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톡홀름 신디롬 (Stockholm Syndrome)

스톡홀름 신디롬 (Stockholm Syndrome)


1973년 8월 23일 부터 8월 28일까지 6일동안 무장강도들이 스웨덴의 수도 스톡홀름에서 노르말름스토리(Norrmalmstorg)의 크레디트반켄(Kreditbanken) 은행을 점거하고 은행 직원을 인질로 잡았던 노르말름스토리 사건에서 이름을 따왔습니다. 

 

스톡홀름 신디롬 무장강도

 


은행직원이었던 인질들은 범인들에게 정서적으로 가까워졌고, 6일 동안 인질로 잡혔다가 경찰에 의해 사건이 정리된뒤에 피해자들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인질범들을 옹호하고 경찰을 적대시하는 모순적이고 기이한 일들이 일어납니다.

 

이사건에서 유래된것이 스톡홀름 증후군 또는 스톡홀름 신디롬이라고 일컬어지는 것인데, 스톡홀름 증후군(Stockholm syndrome)이란 인질이나 피해자였던 사람들이 자신의 인질범이나 가해자들에게 (마땅히 느껴야 될 공포, 증오의 감정이 아닌) 오히려 애착이나 온정과 같은 감정들을 느끼는 것을 말합니다.

 

범죄학자이자 심리학자인 닐스 베예로트(Nils Bejerot)가 뉴스 방송 중에 이 현상을 설명하면서 처음으로 ‘스톡홀름 증후군’이라는 용어를 썼습니다.

 

스톡홀름 증후군이란 용어는 질병이라기보다는 외상적인 상황에서의 대처방식에 대한 것이며 정확한 기준들에 대해서 아직 이견들이 많은 상태입니다.

 

현실에서도 이와 비슷하게 분류될만한 현상들이 있는데요, 폭력을 일삼는 남편을 이상화하는 아내, 자신을 학대하는 아버지를 닮고 싶어하는 소년, 가학적이던 옛 연인을 그리워하는 사람들에게도 동일한 심리적 기제가 작용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피해자가 가해자에 대해 긍정적인 감정을 지니며, 자신을 구해주려고 했던 친구, 가족, 경찰이나 공권력의 대상들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을 지니게 됩니다.


이전의 다른 스트레스 상황에서 무력감을 종종 경험했던 사람들, 생존을 위해서라면 무엇이라도 하려는 경향이 강한 사람들의 경우, 스톡홀름 증후군에 더 쉽게 빠질 수 있다고도 합니다.

심리적으로는 ‘공격자와의 동일시’로 설명할 수 있겠는데, 누군가가 두려울 때, 내가 그 두려운 대상처럼 되려고 함으로써 그 두려움과 공포를 극복하려는 것입니다. 스톡홀름 증후군이 있는 사람들의 경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유사한 증상들을 보이기 때문에 치료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준하여 치료를 하게 됩니다.

 

 

유명한 사례

 

1. 패티허스트(Patricia Campbell Hearest, 1954년생, 미국)

 

패티허스트(Patricia campbell)

 


미국의 언론 재벌 허스트 가문의 큰 딸 패티 허스트는 19세이던 1974년 2월 급진적 좌파 도시 게릴라 공생해방군(共生解放軍, Symbionese Liberation Army)에 납치되었으나, 납치범에게 감화되어 2개월 뒤 공생해방군의 샌프란시스코 은행 습격에 적극적으로 가담했습니다.
그후 그녀는 방송국에 이런 내용의 음성녹음테이프를 보내게 됩니다.
"나는 이제 패티 허스트가 아니라 타니아다.
나는 이들과 뜻을 함께한다.
나의 부모님들은 파시스트 돼지이며,
나의 약혼자는 성차별주의자다."
패티 허스트가 1975년 9월에 체포되었을 때, 변호사들은 패티 허스트가 스톡홀름 증후군 때문에 범죄에 가담했다고 주장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1979년 2월에 지미 카터 대통령이 형량을 줄여주었고, 2001년 1월에는 빌 클린턴 대통령에게 사면을 받았습니다.

 

2. 엘리자베스 스마트

 

엘리자베스 스마트(elizabeth smart)

 


2002년 당시 미국 유타州 의 14세 소녀였던 엘리자베스 스마트는 떠돌이 거리 전도사에게 납치돼 약 9개월간 성적학대를 받았으며, 부인 행세를 하도록 강요당했습니다.
스마트는 유타 주 솔트레이크 시에서 여러 달 동안 범인과 노숙을 했는데, 이 기간 동안 신체적 구속이 전혀 없고,  외부에서 충분히 도망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도망가지 않고 계속 범인과 같이 생활해 왔습니다.
계속해서 특정 공간에서 감금 된 것이 아니라 탈출하지 않고 자진해서 범죄자와 공동생활을 이어가서 마찬가지로 스톡홀름 신드롬으로 해석되고 있는 사건입니다.

 

스톡홀름 증후군의 정확히 반대되는 개념으로 리마 증후군(Lima Syndrome)이 있는데 이 경우, 인질범이나 가해자들이 인질이나 피해자들의 소망이나 욕구에 공감하게 되며 동정심을 느끼고 공격적인 태도가 누그러지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1996년 페루 리마에서 페루반군들이 일본대사관을 점령한 후, 주요 정부 인사들을 포함한 400여명의 인질들을 3개월 이상 억류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인질들에게 자신의 신상을 털어놓거나 편지를 나누는 등의 온정적 행동을 하고 인질범들을 풀어주기 시작했고 마지막 협상도 결렬되자, 남은 인질들을 모두 풀어주고 반군들은 사살당한 사건으로부터 유래되었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