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1 사용 중 최근 윈도우 업데이트를 진행한 이후로 메모장 업데이트의 영향인지 메모장을 처음 실행할 경우 이전에 사용했던 메모장 내용들이 모두 떠서 당황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 문제는 메모장에 생긴 새로운 옵션들과 해당 옵션에 부여된 기본 옵션 설정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로 오류는 아니며 단순히 설정만 한번 변경해 주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아래의 순서대로 메모장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1. 메모장의 우측 끝에 있는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2. 메모장 열기 부분에 있는 '메모장 시작 시' 우측의 드롭 다운 메뉴를 클릭합니다. 3. 기본 옵션으로 되어 있는 이전 세션 계속하기를 '새 세션을 시작하고 저장되지 않은 변경 내용 버리기'로 변경합니..
레지스트리 파일을 만들거나 간단한 윈도우 설정 변경 등의 경우에 시스템을 재시작해야 하는 순간이 있습니다. 빨리빨리 DNA를 가진 우리에게 윈도우 재시작은 마치 퇴근시간 전의 월요일 오후 같은 달갑지 않은 순간입니다.이를 극복하기 위해 윈도우 탐색기 프로세스(Explorer.exe)만을 재시작시켜주는 BAT 파일을 윈도우 바탕화면에 만들어 두면 가끔은 요긴하게 쓸 수도 있습니다. 메모장을 연다음 아래의 내용을 복사하여 메모장에 붙여 넣기 합니다. taskkill /f /im explorer.exeexplorer.exe 첫번째 줄은 강제로(/f) 탐색기 프로세스(explorer.exe) 이미지(/im)를 종료(taskkill)시키라는 명령입니다.두 번째 줄은 다시 탐색기를 실행하라는 명령입니다. 이제 바..
작업 표시줄에 나타나는 실행 중인 앱의 바로 가기 아이콘 옆으로 길게 한글 설명 또는 이름이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윈도우 업데이트 등으로 설정이 풀린 경우 다시 나타날 수 있습니다.아래에서는 윈도우 11의 작업 표시줄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윈도우 10의 경우 등에 있어서도 방법은 동일합니다. 간결한 모습을 선호하는 분들에게 이러한 모습은 매우 극혐입니다.아이콘만 깔끔하게 보이도록 수정하려면 작업 표시줄을 마우스 우클릭한 다음 작업 표시줄 설정을 클릭합니다.윈도우 설정 > 개인 설정 > 작업 표시줄로 들어가도 위치는 동일합니다. 작업 표시줄 설정중 가장 아래의 작업 표시줄 동작 카테고리를 선택합니다.하부 메뉴 중 역시 가장 아래쪽에 있는 '작업 표시줄 단추 합치기 및 레이블 숨기기' 메뉴의..
윈도우 11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다소 낯선 형식의 우클릭 메뉴들이 보입니다.구버전 윈도우인 윈도우 10 형식으로 우클릭 메뉴를 보고자 한다면 가장 아래쪽의 추가 옵션표시를 한번 더 클릭해 주어야 비로소 이전 메뉴 형식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추가 옵션 표시를 한번 더 클릭했을 때 보이는 윈도우 10 형식의 우클릭 메뉴 모습입니다. 두 번 클릭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는 간단한 레지스트리 수정으로 항상 이러한 형식으로 열리도록 수정할 수 있으며 아래에 두 가지의 레지스트리 파일과 하나의 배치명령 파일을 의도하는 상황에 따라 실행해 주시면 됩니다.레지스트리 파일인 reg 파일은 마우스 우클릭후 병합 또는 열기를 통해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원칙적으로는 레지스트리 파일 적용후..
PC에 있는 웹 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한 PDF 파일 등을 아이폰에서 다시 열어 선명하게 보는 방법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는 아이클라우드 또는 외부 프로그램이 없는 상태에서 아이폰에서 열 수 있는 방법을 적어볼까 합니다. 1. 아이폰으로 PDF 파일 전송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웹 페이지 등에서 다운로드한 PDF 파일을 아이폰으로 보내야 합니다.여기서는 이메일 계정을 이용하도록 하겠습니다. PC에서 자신의 이메일 계정을 연다음 자신에게 메일 쓰기 기능을 이용해 이메일을 작성한 다음 해당 PDF 파일을 첨부하고 발송하기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2. 아이폰에서 PDF 파일 저장 하기다음으로 아이폰을 열고 좀전에 자신에게 보낸 이메일 열고 첨부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첨부 파일 옆의 다운로드 ..
앱플레이어 등을 통하거나 기타 성인 인증이 필요한 앱 설치 시 생일 입력 부분에서 태어난 연도를 설정하는 부분에서 좌우 화살표만으로 해야 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름 또는 핸드폰 번호 입력 등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생일 입력 부분에서는 년도 설정에서 좌우 화살표로만 가능한 것처럼 보입니다. 이 문제의 해결 방법은 아주 간단한데 좌측 바로 옆에 있는 년도가 써진 부분을 클릭하면 바로 출생 연도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익숙한 컴퓨터 사용자에게는 쉬울 수도 있지만 미처 생각이 떠오르지 않는 경우에는 상당한 스트레스로 다가올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좀 더 인터페이스를 쉽게 할 수 없었나 하는 아쉬움이 남는 부분입니다. 구글을 신뢰하는 사용자의 한 사람으로서 단순 깔끔하면서 좀 더 손..
AMD 시스템에 VM웨어를 설치할 경우 기본 CMOS 옵션에서는 설치 후 첫 구동에서 오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SVM 가상모드 옵션이 기본 옵션으로 Disable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 옵션을 Enable로 설정해 주어야 VM웨어의 구동이 가능해지게 됩니다. 이하에서는 AMD 라이젠 CPU 시스템의 CMOS에서 SVM모드를 활성화 시키는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PC가 시작될때 Del키를 연타하여 CMOS로 진입합니다.2. 메인 화면에서 MIT 하위 메뉴 중 Advanced 주파수 설정을 클릭합니다. 3. 다음으로 Advanced CPU Settings를 클릭합니다. 4. 다음으로 SVM Mode를 클릭합니다. 5. SVM Mode를 사용 안 함에서 사용으로 변경해 준 다음 C..
레이븐 2에서 게임을 시작한 지 초반이 지나면 보통 녹템으로 도배되어 있는 자신의 캐릭터에게 파란색의 희귀 무기 같은 아이템을 착용시켜야 할 시기가 옵니다. 가장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계승자 시리즈는 얼핏 보면 고급 재료템이 30개씩 들어가기 때문에 쉽지 않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일 가방속에 계승자의 증표라는 아이템이 존재한다면 이야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승자의 증표 아이템이 존재한다면 이것 한 개는 모든 재료템을 모은 것과 동일한 효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아래의 이미지에서처럼 제 벵가드 캐릭터는 초록템과 하얀색 아이템으로 도배되어 있어 무기만이라도 파란색으로 바꿔줘야 할 것 같습니다. 제작에 있는 무기를 누르고 가장 쉽게 제작할 수 있다는 계승자의 무기를 클릭합니다.필요..
위의 제목과 같은 현상은 주로 윈도우 설치 이후에 시스템 최적화 옵션 중 성능 최적화 옵션을 선택한 유저들의 시스템에서 주로 일어나게 됩니다. 웹브라우저의 폰트뿐만 아니라 윈도우 시스템 자체의 폰트까지도 균일한 색상이 아닌 두터움과 얇음이 고르지 않고 글씨가 뭉개져 보이게 됩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임의의 웹페이지에서 캡처한 네이버 블로그 글씨가 뭉개져 보이는 모습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윈도우 시작 버튼을 우클릭한 다음 실행을 클릭합니다.실행 명령 창에 sysdm.cpl을 입력하고 확인을 눌러 줍니다. 다음으로 시스템 속성 창이 열리면 고급 탭을 선택한 다음 최적 성능으로 조정을 선택했던 사용자들의 경우 가장 아래에 있는 옵션인 '화면 글꼴의 가장자리 다듬기' 옵션이 선택 해제되어 ..
윈도우 11의 시작 버튼을 우클릭 후 실행을 누른 다음 실행 창에 netplwiz라고 입력합니다.아래와 같은 윈도우 메인 계정이 표시된 사용자 계정 창이 열리게 됩니다. 위의 이미지에서와 같이 상단에 따로 체크 표시를 해제할 옵션이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여 옵션이 생성되도록 선작업을 해주어야 합니다.윈도우 설정 > 계정 > 로그인 옵션 페이지에서 추가 설정에 있는 '보안을 강화하려면 이 장치의 Microsoft 계정에 Windows Hello 로그인만 허용함(권장 사항)' 옵션을 끔으로 설정해 줍니다. 이제 PC를 재시작한 다음 다시 실행 창에 netplwiz를 입력해 보면 이번에는 상단에 체크 표시할 수 있는 옵션이 생성되어 있는 것이 보입니다. 이 체크 표시를 해제하면 하단의 적..
윈도우 10과 윈도우 11 모두 윈도우 설치 후의 시스템 트레이 기본 옵션은 숨겨진 아이콘으로 표시되도록 기본 설정되어 있습니다. 아래의 이미지처럼 위로 향한 화살표 부분에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어떤 아이콘들이 숨겨져 있는지 보이며 여기서 사용하고자 하는 아이콘을 한번 더 클릭해야 실행이 되는 형태입니다. 그런데 윈도우 10에서 존재하던 옵션이 윈도우 11에서는 숨겨져 있으므로 명령을 이용해 제어판에 숨겨져 있는 이 옵션을 보이도록 먼저 입력해야 합니다.윈도우 11의 시작 버튼을 우클릭한 후 실행을 클릭해 명령창을 실행합니다.명령창에 아래와 같은 명령줄을 복사하여 붙여넣기한 다음 확인버튼을 눌러 명령을 실행합니다. shell:::{05d7b0f4-2121-4eff-bf6b-ed3f69b894d9} ..
넷마블 런처는 최근 많이 사용되는 일종의 전용 앱플레이어 개념으로 모바일 게임의 PC 플레이를 원하시는 유저분들을 위하여 기본 조작 플레이를 넷마블 게임에 한하여 PC에서 플레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첫 구동 화면은 일종의 앱 플레이어와 넷마블 자체 게임 앱들이 배열되어 있는 특이한 앱 플레이어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만, 앱의 배열이 좌측에 수직 바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점이 바탕화면에 배열되어 있는 형식인 다른 앱 플레이어들과는 조금 다릅니다. 아마도 자체 게임 앱의 수가 한정할 수 있을 정도로 작기 때문에 이런 배열 방식을 선택한 것 같습니다. 이제 본론으로 만일 여러개가 설치된 넷마블 런처 내의 게임 앱 중 하나를 삭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다소 생소한 방식으로 배열..
윈도우에서 기본적으로 앱을 삭제하는 방법으로는 제어판의 프로그램 제거에서 삭제하는 방법과 윈도우 설정의 앱 부분에서 삭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런데 어떤 이유인지는 모르겠지만 윈도우 설정의 앱 부분에서 이전에는 특정 앱을 선택하면 보였던 앱의 우측으로 보여야 할 삭제 버튼 또는 삭제 메뉴 진입 아이콘이 보이지 않는 상황이 생겼습니다. 생각보다 제어판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윈도우 설정에서는 보이는 삭제 가능한 앱들이 꽤 되는 것으로 보이는 설정에서 삭제 중 부딪힐 수 있는 문제이므로 알아두는 것이 좋을 것 같아 포스팅으로 남깁니다. 제어판에서 삭제하면 되지 않겠느냐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제가 삭제하고자 했던 아이튠즈나 아이클라우드 윈도우용 프로그램은 제어판의 앱목록에서는 보이지 않고 윈도우 설정의 앱 부분..
모바일 앱 플레이어 중 일부는 보안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앱 플레이어를 비밀 번호 등을 통해 잠금 설정하도록 강요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할 경우에는 매번 앱 플레이어를 구동할 때마다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잠금을 해제하고 진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잠금 설정을 요구했던 앱을 삭제한 경우 이후에도 그 설정은 그대로 계속 남아 있게 됩니다. 따라서, 이럴 경우에는 앱 플레이어 사용자가 직접 비밀번호 기능을 해제하여야 합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제가 사용중인 LD 플레이어를 구동하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잠금을 해제하도록 요구하고 있는 이미지입니다. 비밀번호 기능을 해제하기 위해 일단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앱 플레이어를 열어야 합니다. 이 기능은 안드로이드 보안 설정에 해당하는 기능이므로 앱 플레이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