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1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창 제목 표시줄을 클릭하고 화면의 모서리나 가장자리로 끌면 자동으로 분할 가능한 모습을 레이아웃으로 미리 보여주게 됩니다. 향상된 편의 기능임에도 불구하고 테두리만 움직이고 내가 이동시키고자 하는 창이 이동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므로 이러한 액션이 불편할 수도 있습니다. 화면의 다중 분할 작업을 자주하는 분들은 드래그만으로 빠르게 자동 화면 분할이 원하는 대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굉장히 유용한 기능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다중 작업을 거의 하지 않는 분들에게는 사실 쓸모없는 기능이기도 합니다. 1. 레이아웃 자동 나눔 기능 제거 자동 레이아웃 기능은 윈도우 설정에서 끌 수 있으며 자동 분할 기능만 끄는 것이므로 레이아웃이 나타나는 것 자체를 제거하거나 중지시키는 것은 아..
웹 브라우저나 윈도우 탐색기와 같이 특정 프로세서가 실행 중일 때 우측 상단의 최대화 또는 최소화 아이콘에 마우스 커서를 가져가면 나타나는 창 끌기 레이아웃 미리 보기는 화면을 자동 분할해줄 수 있는 형태들을 미리보기 형식으로 보여줍니다. 그리고 커서로 특정 부분을 클릭해 주면 현재 실행 중인 창이 해당 위치로 이동하면서 선택한 형식대로 자동 분할됩니다. 예를 들어 아래의 이미지에서와 같이 클릭하면 모니터 화면을 2등분하게 되며, 현재 실행 중인 창은 왼쪽을 차지하게 됩니다. 3등분이나 4등분 역시 이와 같이 클릭해 준 지점으로 현재 실행창이 이동하면서 자동 분할됩니다. 이 기능은 하나의 모니터에 여러 개의 창을 열어 두고 작업해야 할 분들에게는 굉장히 유용한 기능이긴 하지만 이러한 멀티 작업을 하는 경..
기본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키보드의 레이아웃은 101키 1형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외에 101키 2형, 101키 3형, 103/106키가 있습니다. 독립적인 한/영 키와 한자 키가 없는 키보드는 오른쪽 ALT 키를 한/영키로, 오른쪽 CTRL 키를 한자키로 작동시킬 수 있습니다. 다만 103 키보드로 설정된 상태이면 오른쪽 ALT 키가 한/영 키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키보드 레이아웃 유형에 따른 키구성은 이 포스팅 하단의 표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101키 키보드로 설정하면 오른쪽 Alt 키로 한/영 전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을 사용하는 경우 시작- 설정 - 시간 및 언어 - 언어 - 한국어의 옵션 - 레이아웃 변경 - 하드웨어 키보드 레이아웃을 한글 키보드(101키) 종류 1..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