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1 기준으로 파일 탐색기의 특정 폴더 위치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터미널에서 열기'로 되어 있고 이를 클릭하면 해당 경로의 파워셀 창이 열리게 됩니다. 예를 들어 아래의 이미지에서 처럼 Temp 폴더에서 마우스 우클릭 후 '터미널에서 열기'를 클릭할 경우에 해당 경로의 Windows Powshell 창이 열리게 되어 있습니다. 이제 변경시키도록 하겠습니다. 열려 있는 파워셀 창의 드롭 다운 화살표를 클릭하고 설정을 클릭합니다. 설정의 기본 프로필 항목에서 Widnows PowerShell로 되어 있는 기본값을 명령 프롬프트를 클릭해 명령 프롬프트로 변경시켜준 후 아래의 저장 버튼을 눌러 줍니다. 이 이미지에서 알 수 있는 것 처럼 마우스 우클릭 메뉴인 '터미널에서 열기'의 터미널이란 Wind..
윈도우 11 업데이트 이후 명령 프롬프트, 파워셀, 클라우드 셀 앱들이 상당히 발전된 옵션과 설정 및 테마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미리 준비된 각종 명령 프롬프트 테마를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 불투명하게 조절하는 기능 등 많은 기능들이 추가된 모습을 보입니다. 명령 프롬프트의 테마를 고르는 방법은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한 다음 좌측 상단의 명령 프롬프트 아이콘을 우클릭한 다음 설정을 클릭하고 좌측의 카테고리에서 명령 프롬프트를 선택합니다. 다음으로 추가 설정 > 모양 > 투명성 > 배경 불투명도에서 슬라이드 바를 조절한 다음 아래의 저장 버튼을 눌러 주면 됩니다. 바로 적용된 모습을 볼 수 있는 데 원하는 만큼 관찰해 가면서 불투명도를 조절해 주면 됩니다. 100%는 불투명도 100%로 투명성이 전혀 없..
윈도우 11에서 윈도우 시작 버튼을 우클릭하면 windows 터미널 또는 windows 터미널(관리자)를 실행할 수 있으며, 설정에서 아예 파워셀이 아닌 CMD로 시작하도록 설정해 둘 수도 있습니다. 처음 기본값 상태에서 클릭하면 파워셀 창이 뜨게 되므로 여기까지만 봤을 때는 윈도우 터미널이라는 게 파워셀을 말하고 명령 프롬프트는 별도로 실행해 주는 것 같이 보입니다. 하지만 업데이트된 윈도우 터미널에는 이전 윈도우와는 비교되지 않을 정도의 옵션을 가지고 있으며 윈도우 터미널 자체에 이미 파워셀뿐만 아니라 명령 프롬프트(CMD), 마이크로소프트의 Azure Cloud Shell 등 세 가지의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윈도우 터미널이라는 명칭은 윈도우 파워셀, 윈도우 명령 프롬프트, ..
기존 윈도우즈의 명령 프롬프트와 파워셀 프로그램이 합쳐지는 듯한 모습과 기능을 선보이는 MS의 터미널 미리 보기 1.4 버전입니다. 이 터미널의 설치는 MS 스토어 또는 GitHub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물론, 버전별 상세한 버그 수정 및 업데이트 내역은 Github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Windows 터미널은 명령 프롬프트, PowerShell 및 WSL(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과 같은 명령줄 도구 및 셸 사용자를 위한 최신 터미널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주요 기능에는 여러 탭, 창, 유니코드 및 UTF-8 문자 지원, GPU 가속 텍스트 렌더링 엔진(이 말은 윈도우즈 터미널이 텍스트 렌더링시 GPU를 사용하므로 기존의 윈도우 명령 프롬프트 등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인다는 말입니다),..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