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블로그 압축에 대한 진실 오래된 브라우저가 아닌 대부분의 브라우저는 모든 HTTP 요청에서 gzip 압축을 지원합니다. gzip 압축을 사용하면 전송되는 응답의 크기를 최대 90%까지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리소스 다운로드 시간을 크게 낮추고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사용량을 줄이며 페이지의 첫 번째 렌더링 시간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일반 블로그 유저들이 굳이 압축을 하지 않아도 거의 대부분의 콘텐츠 서버에서 자동으로 압축을 하게 된다는 사실입니다. 또한, 한번 압축을 해버리면 블로그 운영자 입장에서는 압축되어 버린 코드로 인해 수정이 매우 힘들어지게 됩니다. 굳이 할 필요가 없는 과정을 밟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압축이 속도향상에 유리한 것은 맞지만 개개인이 일부러 손을 댈 ..
제가 이렇게 까지 하게 된 이유의 발단은 구글 콘솔입니다. 아래의 구글 콘솔 보고서처럼 스킨 교체 이후 갑자기 400개 이상의 느린 속도 증상이 나타나더니 약 한 달 후 백개 정도가 더 늘어납니다. 원인은 여기에서 비롯되었지만 결과적으로는 Jb167 스킨에서 댓글 관련 요소 자체를 없애 버려야 했고, 오늘은 그 방법을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구글 콘솔과 연계된 PageInsight 에서 임의의 광고 나오는 페이지를 측정한 결과는 참혹하게 나왔습니다. 1 ~4 정도로 말이죠. 근데 문제는 해당 사이트의 검색 결과 권장 사항을 읽어 보는 도중에 쇼킹한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아래는 문제의 사진입니다. 댓글 단 분의 조그만 사이즈일 거라고 생각했던 프로필 아이콘이 무려 2,701KB로 해당 페이지의 모바일 로딩..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