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0 또는 윈도우 11의 경우에 대표적인 캡처 방식인 PrtScr 키 단독으로 누르는 경우와 Win + PrtScr 키를 누르는 두 가지 경우에 관하여 살펴보려고 합니다. 그 내용 중 자동 저장되는 파일의 이름 형식을 사용자가 어떻게 변경 지정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도 살펴보겠습니다. 1. PrtScr 이 경우에 윈도우 기본 저장 형식은 '스크린 샷 날짜 및 시간.png'와 같은 파일 이름 형식으로 저장되게 됩니다. 저장되는 폴더는 스크린샷 기본 저장 폴더인 사진 폴더에 저장되게 됩니다. 아래에서 설명할 Win+PrtScr 스크린샷 이미지 역시 이 폴더에 저장됩니다. 이 키는 보통 캡처할 영역, 창 또는 전체 화면을 선택할 수 있는 캡처 도구 창이 열리는 방식으로 후속 작업을 이어가게 되며 기능이 ..
윈도우 캡처 후 자동저장 단축키인 '윈도우키+Shift+S' 키를 누르면 저장 경로를 묻지 않고 스크린 캡처 후 자동으로 지정된 경로로 이미지가 저장됩니다. 탐색기에서 경로를 살펴보면 주소 표시줄에 '사진>스크린샷' 이런 식으로 경로가 표시됩니다. 하지만 위의 주소 표시줄 경로를 마우스로 클릭해 보면 실제 주소가 보이게 되는 데, 실제 스크린샷 저장 장소인 주소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C:\Users\사용자명\Pictures\Screenshots 해당 저장 경로를 파일 탐색기에서 찾아가고자 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두 가지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한글로 표시되는 저장 경로를 따라가려면 '사진>스크린샷'으로 들어가면 됩니다. 정식 경로로 들어가려면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C:\Users\계정명\..
윈도우 로고키와 프린트스크린키를 누르면 스크린샷 이미지는 자동으로 지정된 폴더에 저장됩니다. 겉으로는 아무런 변화가 없으나 저장되는 경로에 있는 폴더에는 스크린샷.png라는 이름으로 자동 저장되게 됩니다. 이후에는 숫자만 증가하는 형식입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메카니즘은 윈도우 파일 탐색기의 좌측 카테고리에 있는 다운로드, 동영상, 문서, 링크, 음악, 연락처 등의 모든 대표 경로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즉 다운로드 폴더를 변경하려면 아래에 설명한 메카니즘처럼 우클릭후 속성의 위치탭에서 작업해야 합니다. 1. 스크린샷 자동저장 기본 경로 윈도우의 기본 스크린샷 자동 저장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C:\Users\사용자계정\Pictures\Screenshots 위의 경로는 한글 윈도우에서의 경로로 풀어쓰면..
저는 스크린 캡처를 많이 사용하는 편입니다. 따라서 이 부분에도 여러 가지 방법을 혼용해서 모든 경우를 커버하고 원하는 방식을 좀 더 효율적으로 개인 설정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1. 일반 스크린 캡쳐 기본적으로 프린트 스크린 키는 그 고유 기능 그대로 사용합니다. 기본이기 때문입니다. PrtScr키와 그림판 조합으로 빨리빨리 붙여 넣고 잘라내기 작업을 할 때 주로 사용하며 사용빈도가 가장 높습니다. 2. 영역 지정 또는 창모드, 타이머 모드 사용 시 위의 이미지처럼 두 개의 바로 가기를 작업 표시줄에 고정하고 사용합니다. 1번 항목 이외의 방법이 더 적당한 경우에 둘 중 적절한 것을 사용합니다. 왼쪽 바로 가기는 캡처 및 스케치이며 주로 사각형이나 자유형 영역을 그려서 캡처할 경우에 사용하며, 저의 경..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