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스크린 캡처를 많이 사용하는 편입니다. 따라서 이 부분에도 여러 가지 방법을 혼용해서 모든 경우를 커버하고 원하는 방식을 좀 더 효율적으로 개인 설정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1. 일반 스크린 캡쳐 기본적으로 프린트 스크린 키는 그 고유 기능 그대로 사용합니다. 기본이기 때문입니다. PrtScr키와 그림판 조합으로 빨리빨리 붙여 넣고 잘라내기 작업을 할 때 주로 사용하며 사용빈도가 가장 높습니다. 2. 영역 지정 또는 창모드, 타이머 모드 사용 시 위의 이미지처럼 두 개의 바로 가기를 작업 표시줄에 고정하고 사용합니다. 1번 항목 이외의 방법이 더 적당한 경우에 둘 중 적절한 것을 사용합니다. 왼쪽 바로 가기는 캡처 및 스케치이며 주로 사각형이나 자유형 영역을 그려서 캡처할 경우에 사용하며, 저의 경..
아마도 많은 분들이 캡처하는 방식으로 키보드의 프린트 스크린 키와 그림판 그리고 조금 더 발전하면 윈도 자체의 캡처 및 스케치를 사용하고 계실 줄로 압니다. 물론 저도 그중의 한 사람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캡쳐 기능을 순서대로 나열해 보면 키보드 + 그림판 > 캡처 및 스케치 > 알 캡처입니다. 모두 무료이지만 알캡처는 마우스 커서 포함 캡쳐는 물론 다각형 영역 같은 사용자 지정 영역 캡쳐와 눈에 보이지 않는 스크롤바를 내려야 볼 수 있는 안 보이는 영역까지 캡쳐가 가능합니다. 이런 기능은 당연히 그림판보다 진보한 캡쳐 및 스케치에서 조차 아직까지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어차피 캡쳐는 주력으로 하나만 작업표시줄에 등록해 두고 사용하는 데 결론은 이미 알 캡처로 내려진 거라고 봅니다. 아래에서는 간다히 알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