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지식인에서 포토스케이프는 외부의 폰트 또는 글꼴을 사용할 수 없다는 둥, 포토스케이프는 한번 저장하면 추후에 레이아웃 편집이나 수정이 불가능하다는 둥 정말 기가 차는 답변들이 너무 많아 포토스케이프의 왜곡을 보는 입장에서 안타까워 포스팅합니다. 1. 포토스케이프 글꼴 부분 네이버 지식인에서 아래와 같은 한심한 대답을 내막을 모르고 채택해 주는 질문자분은 아마도 오랫동안 포토스케이프X의 글꼴 교체에 대하여 시도할 생각을 하지 않겠죠. 안타깝네요. 참고로, 위의 이미지에서 삽입된 글꼴은 포토스케이프에 설치한 구글의 개방 폰트중 하나인 나눔 펜 스크립트 글꼴로 포토스케이프에서 만들었습니다. 엄밀히 말하면 포토스케이프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윈도우용 폰트인 TTF를 윈도우에 설치하면 포토스케이프에서는 자..
.PSD(Photoshop Document)는 Adobe사의 대표적인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인 포토샵의 기본 이미지 저장 포맷 형식을 말합니다. 아주 오래된 문제점으로 MS의 윈도우 파일 탐색기의 미리보기에서 해당 파일 포맷이 지원되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 문제가 MS의 고집인지, 아니면 Adobe의 고집인지는 모르겠으나 어쨌든 그 피해의 몫은 윈도우즈 운영체제에서 포토샵을 사용하고 있는 유저들의 몫입니다. 이 문제의 해결 방법으로 제가 알고 있는 방법은 3가지 정도 입니다. 1. Adobe Bridge의 사용 포토샵을 만든 어도비사의 어도비 브릿지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 방법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윈도우즈의 파일 탐색기에서 미리 보기 기능만 활성화 시키는 형태가 아닌 어..
포토샵의 저장 형식인 PSD파일을 Paint.net에서 열고 편집할 수 있게 해주는 플러그인입니다. 아래의 주소에서 다운로드합니다. www.psdplugin.com/ 다운로드 한 다음 압축을 풀면 'photoshop.dll'이라는 파일이 하나 나오는데 이 파일을 아래의 경로에 복사하여 붙여 넣기 합니다. C:\Program Files\PaintNET\FileTypes 만약, Paint.net이 실행 중이라면 플러그인의 인식을 위해 프로그램을 재시작합니다. 아래의 이미지처럼 포토샵 파일 확장자인 PSD, PSB 형식의 파일이 등록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의 제작자가 밝히는 포토샵 PSD 파일의 범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 RGB 이미지의 포토샵 파일 - 채널당 8비트의 색농도를 가진 포토샵..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