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0 또는 윈도우 11의 바탕 화면 아이콘들이 실제 경로 폴더에 있는 아이콘들과 모습이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윈도우의 바탕 화면 경로는 하나의 폴더가 아니라 두 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제 PC의 바탕 화면 모습입니다. 바탕 화면에 있는 아이콘들의 알려져 있는 일반적인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C:\Users\사용자\Desktop 그렇지만 해당 경로로 들어가 보면 대부분 실제 바탕 화면보다 휑하게 비어 있는 바탕 화면 폴더 내의 아이콘들을 보게 될 것입니다. 제 PC를 보았을 때 아래와 같은 식으로 말입니다. 실제 바탕 화면의 아이콘 절반도 보이지 않고 있네요. 그 이유는 윈도우 바탕 화면의 구성은 두 개의 폴더를 참조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살펴본 바..
윈도우 바탕화면에서 내 PC, 휴지통, 제어판, 내 문서, 네트워크 아이콘 등이 사라진 경우가 있는 데, 윈도우 11과 윈도우 10 두 가지 운영체제 모두 해결방법이 동일합니다. 엄밀히 말하면 사라진 것이 아니라 바탕 화면의 기본 옵션이 보이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으로 단순히 보이도록 체크하여 설정을 변경하면 해결되는 문제입니다. 1. 윈도우 10 윈도우 10에서는 아래의 이미지처럼 마치 휴지통이나 내 PC가 사라진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엣지와 내 문서 정도만 보이고 있습니다.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한 다음 개인 설정 > 테마를 클릭합니다. 우측 옆으로 관련 설정 항목이 보이는 데, 바탕 화면 아이콘 설정을 클릭합니다. 팝업 창인 바탕 화면 아이콘 설정에서 보이길 희망하..
윈도우 바탕화면의 경우에는 개별 폴더의 경우와 같은 시간순 정렬 후 내림차순 혹은 오름차순 등의 옵션 설정 차이 따로 없습니다. 특히, 가장 오래된 파일이 가장 위에 있고 시간순으로 뒤에 붙길 원하는 경우 이와 반대의 현상이 벌어지면 난감하실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의 정렬을 좌우하는 옵션은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할 경우 나오는 정렬 기준 중 수정한 날짜 옵션에 따라 좌우됩니다. 그런데 가장 최근에 제작된 아이콘이 가장 먼저 나오게 되는 옵션은 수정한 날짜 순의 정렬 중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때 이루어지는 정렬 방식입니다. 아래의 이미지에서처럼 바탕화면의 수정한 날짜 정렬 기준에서는 그 하부 옵션인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의 옵션이 보이지 않습니다. 폴더에서는 시간순으로 정렬하는 방법 중 하부 옵션으로 내..
알 PDF를 설치한 이후에는 기본적으로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이 설치됩니다. 하지만 바탕화면 정리 등의 이유로 아이콘을 삭제해 버린 경우에 추후 다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의 방법입니다. 아주 간단한 작업이지만 컴퓨터를 능숙하게 다루지 못하는 분들에게는 어려울 수도 있는 작업이므로 최대한 자세히 설명해 보려고 합니다. 기준은 현재 제가 사용 중인 윈도우 11이지만 윈도우 10이나 그 이하의 버전도 동일한 방법으로 작업해 주시면 무리가 없으리라고 생각합니다. 먼저, 윈도우 시작 버튼을 누르고 아래로 내려 알 PDF 아이콘을 찾습니다. 윈도우 시작 메뉴에 등록되어 있는 알 PDF 바로가기 아이콘을 찾았다면 마우스 우클릭한 다음 기타 > 파일 위치 열기를 클릭합니다. 알 PDF의 파일 위치 열기를 클릭하면 ..
윈도우 바탕화면의 아이콘들이 우클릭했을 때의 옵션에서 자동 정렬에 체크 표시되어 있지 않는 데도 불구하고 새로고침 할 때마다 또는 재시작할 때마다 아이콘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에는 아래와 같은 조치를 취해 보시기 바랍니다. 1. 테마에서 변경 금지 윈도우 테마에서 바탕화면의 아이콘 옵션을 제어하지 못하도록 설정합니다. 바탕화면 우클릭 > 개인 설정 > 테마 > 바탕화면 아이콘 설정 경로로 들어갑니다. 하단의 테마에서 바탕 화면 아이콘 변경 허용 옵션의 체크 표시를 해제합니다. 그런 다음 하단의 적용 및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2. 아이콘 캐시 삭제 파일 탐색기를 열고 아래의 경로로 들어갑니다. 폴더 옵션에서 보기 옵션은 숨김 파일 표시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C:\Users\사용자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