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7에서는 기본 이미지 뷰어로 윈도우 10 이후로는 사실상 폐기된 이미지 뷰어입니다. 공식적인 윈도우 10의 보조 프로그램 리스트에도 나오지 않습니다. 더군다나 구형 이미지 뷰어가 존재하는 시스템은 윈도우 7에서 윈도우 10으로 업그레이드한 경우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렇게 숨겨진 윈도우 10의 이미지 뷰어를 실행하려면 시작 메뉴 자체가 없으므로 윈도우 설정 > 앱 > 기본 앱으로 이동한 다음 우측 창에서 사진 뷰어의 기본 앱으로 설정되어 있는 사진 앱을 구형 윈도우 사진 뷰어로 바꾸어 실행해야 합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2종의 윈도우 10 설치 시스템에서 구형 Windows 사진 뷰어 앱이 어떤 형태로 보이는지 비교한 이미지입니다. 윈도우 7에서 사용하던 것을 업그레이드된 윈도우 1..
0x0000007E 오류는 주로 윈도우7과 윈도우 서버 2008 R2에서 일어나는 블루 스크린 오류 증상입니다. 이 문제의 해결에 관하여 윈도우7에 관한 지원을 종료했기 때문인지는 몰라도 MS에서는 픽스 파일의 다운로드 링크를 끊고 윈도우10으로 업데이트하라는 페이지로 교체하였습니다. 앞으로 운영체제를 윈도우10으로 바꾸지 않는 한 고질적인 오류가 발견된다 하더라도 MS에서는 이를 수정하지 않을 확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윈도우10으로의 업그레이드를 고려해 보는 것이 어찌 보면 최선의 영구적인 해결책이 될 수도 있습니다. 어쨌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부분들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1. 하드 디스크의 저장공간 확인 하드 디스크의 공간 부족으로 인해 이러한 오류가 나타날 가능성이..
mshtml.dll 파일은 응용 프로그램의 내부에서 웹 형식의 페이지인 html 페이지와 같은 형식으로 만든 다음 이를 프로그램 요소의 일부로 사용하여 쓸 수 있는 공유 형식의 시스템 파일입니다. 이 파일이 문제를 일으킬 경우 웹브라우저를 비롯해 html 방식을 일부 채용한 오피스 계열 응용 프로그램 등에서 오류를 일으키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이 파일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오래전에 제작한 동적 라이브러리 파일(dll)이므로 현재의 윈도 10에서는 거의 문제를 일으키는 일이 없으나 오래된 PC나 구버전의 OS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최신의 응용 프로그램들이 설치되면서 업그레이드된 mshtml.dll 파일을 덮어쓰기 시키면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해결방법을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웹브라우저..
윈도우 7, 윈도우 8 정품 사용자라면 윈도우 10으로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업그레이드 방법에는 온라인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바로 업그레이드하는 방법과 순정 윈도우10 이미지 파일인 ISO로 다운로드 한 뒤 설치하는 방식을 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설정을 유지하면서 업그레이드 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데이터가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지만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중요한 파일들은 다른 파티션에 보관하시길 권해 드립니다. 만일 하드디스크 또는 SSD가 하나만 장착되어 있는 PC라면 약간의 공간을 분할하여 다른 파티션으로 지정하시길 바랍니다. 그런 다음 새로 생성한 보관용 파티션에 중요한 자료들을 백업해 두시길 바랍니다. 파티션 나누기는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해 드린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는 것이 편합니다. M..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