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1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창 제목 표시줄을 클릭하고 화면의 모서리나 가장자리로 끌면 자동으로 분할 가능한 모습을 레이아웃으로 미리 보여주게 됩니다. 향상된 편의 기능임에도 불구하고 테두리만 움직이고 내가 이동시키고자 하는 창이 이동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므로 이러한 액션이 불편할 수도 있습니다. 화면의 다중 분할 작업을 자주하는 분들은 드래그만으로 빠르게 자동 화면 분할이 원하는 대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굉장히 유용한 기능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다중 작업을 거의 하지 않는 분들에게는 사실 쓸모없는 기능이기도 합니다. 1. 레이아웃 자동 나눔 기능 제거 자동 레이아웃 기능은 윈도우 설정에서 끌 수 있으며 자동 분할 기능만 끄는 것이므로 레이아웃이 나타나는 것 자체를 제거하거나 중지시키는 것은 아..
윈도우 로고키+방향키를 사용하면 모니터 화면을 분할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더 쉬운 방법은 마우스로 화면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드래그하는 방법입니다. 즉, 실행중인 프로그램의 창을 마우스를 이용해 위쪽으로 드래그하면 창 최대화, 화면의 우측 위아래 모서리로 드래그하면 4 분할,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2 분할화면이 자동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실행중인 창의 우측 상단 최대화 아이콘 위로 마우스 커서를 대면 1~4 분할 중 선택하여 분할할 수 있습니다. 여러 개의 창 또는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열어둔 채로 작업을 자주 하는 사람에게는 매우 유용한 기능이지만, 창을 단순히 이동하려 했는데 자동으로 최대화되어 버리는 경우가 신경 쓰이는 분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해제하려면 다음과 같이..
윈도우 10, 윈도우 11 모두 실행 중인 창의 제목 표시줄 부분을 마우스로 클릭한 다음 떼지 않고 화면의 가장자리 또는 모서리로 끌면 자동으로 화면 분할이 일어나는 기능이 있습니다. 다중 분할을 쉽게 하도록 도와주는 기능으로 여러 창을 띄운 채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기능입니다. 좌우로 이동할 경우에는 2 분할, 4군데의 모서리로 이동할 경우에는 4 분할 기능이 작동합니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창을 끌어 모서리나 좌우로 드래그해도 화면 밖으로 밀려나가기만 할 뿐 자동 분할이 되지 않는 다면 윈도우의 이 기능이 해제되어 있는 것은 아닌지부터 살펴보아야 합니다. 윈도우 11 시작 로고를 우클릭한 다음 윈도우 설정 > 시스템 > 멀티태스킹 > 창 맞춤 기능이 꺼져 있는지 확인하시고 꺼져 있..
화면 분할 작업 시 윈도우 로고 키를 누른 상태에서 좌, 우 화살표 키를 사용해 화면을 분할하여 작업을 하는 방식에 관하여는 많은 분들이 이미 유용하게 사용하고 계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굳이 윈도우 로고 키를 사용하지 않고도 오직 마우스 하나만으로도 편리하게 화면 분할을 설정하고 작업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원칙은 오직 하나만 알고 계시면 됩니다. - 분할할 창이 탭중의 하나이든 독립된 창이든 끌어서 모서리 4면으로 가면 1/4 화면으로, 좌측이나 우측으로 끌면 1/2 화면으로 변합니다. 이 이야기는 마우스로 제목 표시줄을 드래그하면 좌, 우측의 2 분할 화면을 만들 수 있고, 모니터 4개의 모서리로 웹브라우저 창을 끌면 4 분할 화면까지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는 말이 됩니다. 예..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