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컴 한글 워드 편집 작업 중 일반적으로는 자동 저장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갑자기 컴퓨터의 전원이 꺼지거나 오류로 다운되는 등의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작업하던 내용이 모두 사라져 버리는 불상사를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하지만 극도로 보안이 유지되어야 하거나 여러 사람이 공유하는 컴퓨터이거나 또는 자동 저장 기능을 특별한 이유로 선호하지 않는 등의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자동 저장 기능을 해제하고 싶은 경우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물론, 백업본이 저장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할지도 모르는 데이터 유실에 대하여는 모두 감수해야 합니다. 이하에서는 한컴 한글 워드이 자동 저장 기능 해제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 저장 기능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한글 워드를 연 다음 상단 메뉴..
만일 정상적으로 PC의 모든 사용 과정을 종료했으며 작업했던 모든 작업을 저장한 경우라면 PC를 종료하거나 재시작할 경우 문제없이 종료되거나 재시작됩니다. 하지만, 예를 들어 저장하지 않고 편집 중인 문서나 이미지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시스템 종료를 누르면 윈도우즈는 PC 사용자에게 이대로 강제 종료하게 되면 저장하지 않은 데이터가 모두 사라지게 될 수 있으니 다시 한번 상태를 살펴보라는 의미로 종료하지 않고 입력 대기 상태로 들어가게 됩니다. 이때, 설사 저장되지 않은 편집중이던 작업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무시하고 전원 종료 명령을 우선시하여 전원을 종료해 버리는 기능이 AutoEndTasks 기능입니다. 따라서, 이 기능을 키게 되면 저장하지 않은 작업이 있다고 하더라도 전원 종료 시 사용자에게 물어..
윈도우 로고키와 프린트스크린키를 누르면 스크린샷 이미지는 자동으로 지정된 폴더에 저장됩니다. 겉으로는 아무런 변화가 없으나 저장되는 경로에 있는 폴더에는 스크린샷.png라는 이름으로 자동 저장되게 됩니다. 이후에는 숫자만 증가하는 형식입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메카니즘은 윈도우 파일 탐색기의 좌측 카테고리에 있는 다운로드, 동영상, 문서, 링크, 음악, 연락처 등의 모든 대표 경로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즉 다운로드 폴더를 변경하려면 아래에 설명한 메카니즘처럼 우클릭후 속성의 위치탭에서 작업해야 합니다. 1. 스크린샷 자동저장 기본 경로 윈도우의 기본 스크린샷 자동 저장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C:\Users\사용자계정\Pictures\Screenshots 위의 경로는 한글 윈도우에서의 경로로 풀어쓰면..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