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oom에는 손들기와 손내리기 기능이 있는 데 몇가지 사항을 미리 알아 두시면 이해가 빠릅니다. 첫째, 줌의 호스트는 손들기가 불가능하며, 모두 내리기라는 권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줌 프로그램의 설정 옵션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둘째, 손들기와 손내리기를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참가자들 입니다. 세째, 손들기와 손내리기의 단축키는 Alt+Y 입니다. 아래에서는 PC 버전의 줌을 기준으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줌을 실행한 다음 회의에 참가하면 하단에 참가자 관리 버튼이 보입니다. 참가자 버튼을 누르면 줌 실행창의 우측으로 채팅창이 생기게 됩니다. PC 버전의 경우에 우측에 참가자들 목록이 세로로 쭉 나열되어 있고 채팅을 할 수 있는 창이 열려야 손들기와 손내리기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줌을 사용중인데 내 얼굴의 뒤쪽으로 비쳐지는 배경에 옷들이 걸려있고 가끔 가족들이 다닙니다. 침대나 문짝이 보일때도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이 바로 줌의 가상 배경화면 옵션입니다. 줌에 로그인한 후 설정을 누르고 배경 및 필터를 누르면 기본 배경 이미지 항목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골라 송출 화면의 배경 이미지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쉽게 생각해 영화나 영상 제작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블루스키린이나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한 것입니다. 영화 제작자들은 청색이나 녹색 계열의 막을 많이 사용합니다. 포토샵에서 2D 이미지를 합성할 경우에 선택툴을 사용해 오브젝트를 잘라내기(누끼 딴다라고 많이 표현합니다)하면 배경이 투명한 오브젝트가 만들어 지는 데 이 따낸 이미지를 다른 멋진 이미지 위에 올려..
줌을 설치하기 위해 아래의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줌 공식 설치 페이지 다운로드한 설치 파일을 클릭하면 설치가 완료되고 바로 로그인 창이 뜨며 사용하면 됩니다. 로그인 버튼을 누르면 새로 아이디를 생성할지 구글 계정을 연동해서 사용할지 등을 물어보게 됩니다. 구글 계정에 연동할 경우 본인 확인을 한번 정도 더 거칠 수 있습니다. 제 경우에는 생년월일을 물어 보더군요. 구글 계정을 연동하여 생성한 PC용 줌의 모습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외에도 태블릿용, 애플용, 안드로이드용 등 많은 버전의 줌이 존재합니다. 요금제는 4가지의 요금제가 있으며 보통 개인 회의나 참가자가 100명 미만이면서 그룹 미팅으로 40분 이내인 경우나 1:1인 경우에는 무료입니다. 우측 상단의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아이콘을 클릭하면 일반..
티스토리 블로그를 zum검색엔진에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zum검색엔진은 알씨,알집,알약 등을 개발한 이스트소프트사와 제휴된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형식의 포털형 검색엔진입니다. 많은 분들이 구글,다음,네이버 까지 또는 더한다면 bing 정도 까지만 등록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조금은 생소할 수 있는 zum검색엔진에 등록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먼저 zum의 고객센터 페이지의 사이트 검색등록 페이지로 가야 합니다. 링크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help.zum.com/submit/register 이 주소에서 아래 그림이하의 설명대로 따라하면서 등록하시면 됩니다. 만약 위의 링크주소가 에러가 발생한다면 진행할 수 있는 최초의 페이지 주소를 아래에 링크합니다. 줌홈페이지로 갈..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