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포스팅 9-2에서 연필을 불러와 중심점을 맞추는 것을 배운 적이 있습니다. 다각형 그리기는 여기부터 시작합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저의 경우에는 오프라인 에디터가 아닌 크롬에서 온라인에디터를 사용하여 작업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사용의 경우에는 실시간 저장 기능이 있습니다. 1. 기본 코드 생성 - 새로 만들기를 클릭하고 연필 모양의 스프라이트를 불러옵니다. - 모양탭에서 전체 오브젝트가 포함되도록 드래그하여 그룹화 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 연필끝을 에디터의 중심점에 맞춰 줍니다. - 변수 팔레트에서 변수 만들기를 클릭하고 '도형 선 개수'라는 변수를 만듭니다. 도형 선 개수에 따라 그려지는 방식을 지정하는 변수입니다. - 이벤트 팔레트에서 '깃발 클릭했을 때' 블록을 가져옵니다. - 확장기능 추가..
테트리스 전 단계쯤인 초보 테트리스입니다. 아직은 진짜 테트리스처럼 음악이 나오고 화려한 색상의 블록들이 쏟아지는 테트리스는 못 만들지만 언젠가는 만들 수 있겠지요. 하나의 형태로만 블록 맞추기를 하는 아주 단순한 블록쌓기 입니다. 1. 블록 만들기 새로 만들기를 한 다음 스프라이트를 그립니다. 쉬프트 키를 누른 상태에서 사각형 그리기 툴을 사용해 작은 크기의 정사각형 하나를 만듭니다. 선택 툴로 바꾼 다음 상단 메뉴 중 복사, 붙이기를 사용하여 두 개를 더 복사하여 ㄱ자 모양으로 만듭니다. 미세하게 맞추고자 할 경우에는 선택된 상태에서 키보드의 화살표 키를 사용합니다. 완성되면 모두 포함되게 드래그하여 그룹화시켜 줍니다. 그룹화된 ㄱ자 모양의 블록의 중심을 에디터 보드의 중심과 맞춥니다. 2. 게임 소..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필 모양의 전용 도구를 사용하는 그림판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그림판에서 직접 연필의 색과 굵기 등도 조절이 가능한 그림판입니다. 1. 연필의 중심점 설정하기 - 고양이 스프라이트를 삭제한 뒤 스프라이트 고르기를 눌러 'Pencil'이라는 연필 모양의 스프라이트를 선택합니다. - 모양탭에서 연필 바깥에서 모두 포함될 수 있도록 크게 드래그한 다음 상단 메뉴 중 그룹화 적용을 눌러 줍니다. 이제 연필을 마구 클릭해도 일부분만 떨어져 나가지 않습니다. - 연필을 끝부분을 편집 화면의 중심축 표시 지점에 맞춥니다. 2. 변수 설정하기 - 변수 팔레트를 선택한 다음 '변수 만들기'를 클릭해 변수 이름을 '색'이라고 지정해 줍니다. - 무대에 생긴 색 변수 블록을 우클릭하여 '슬라이더..
(예제) 음산한 숲 속에서 박쥐 한 마리가 미친 듯이 날아다닙니다. 숲과 박쥐 둘 다 계속해서 색이 바뀌고 무한 반복됩니다.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 보세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스프라이트 객체나 배경이 스크래치 자체의 효과에 의해 색이 바뀌는 것을 배워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러한 속성변환 블록은 형태 팔레트의 '색깔 효과를 25만큼 바꾸기' 블록에 존재합니다. 해당 블록이 구현할 수 있는 효과는 색깔, 어안 렌즈, 소용돌이, 픽셀화, 모자이크, 밝기, 투명도입니다. 이러한 효과는 자체적으로 장면 전환 또는 특수효과를 내려고 할 경우에 요긴하게 쓰입니다. 특수효과 7가지의 미리보기 모습은 대략 아래와 같습니다. 효과의 수치를 높일수록 효과는 극대화됩니다. 이제 위의 효과 중 색깔 효과를 중점적으로 적용하여야 ..
만약 이전 시간 포스팅에서 피아노 결과물이 저장되어 있다면 이번 포스팅을 이어서 진행하는 데 큰 무리는 없습니다. 스크래치 페이지의 내 작업실에서 스크립트 보기를 해도 이전 작업 완료분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전 작업분에서 상단의 빈 공간에 몇 개의 악기별 버튼을 넣어 한 화면에서 여러 가지 악기 소리를 테스트해 볼 수 있는 결과물을 만들고자 합니다. 스프라이트 고르기를 누른 다음 button3을 가져옵니다. 피아노는 이미 삽입되어 있으므로 모양탭으로 간 뒤 버튼 이미지에 '피아노'라고 입력합니다. - 코드탭의 이벤트 팔레트에서 '이 스프라이트를 클릭했을 때' 블록을 가져옵니다. - 눌렀을때 변화를 주기 위해 형태 팔레트에서 'button3-b로 바꾸기' 블록을 삽입합니다. - 음악 팔레트에서 ..
이번 포스팅에서는 피아노 건반을 직접 백터 포맷 형식으로 그린 뒤 건반을 누르면 음이 나오도록 만들어 보겠습니다. 백터 포맷은 흔히 사용하는 bmp, jpg, png 등의 비트맵 형식 파일과는 다르게 확대해도 이미지 손실이 일어나지 않는 그래픽 형식을 말합니다. 백터 포맷 방식의 확장자들로는 svg, ai, cdr, vml, wmf 등이 있습니다. 에디터에서 모양탭을 클릭하고 아래쪽의 백터로 바꾸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배경이 아닌 스프라이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모든 그려진 대상물들이 마우스로 선택한 뒤 삭제된 백색 바탕이 되어야 합니다. 사각형 툴을 아래로 길게 드래그하여 피아노 건반 모양의 직사각형을 만듭니다. 채우기 색은 건반의 색인 흰색입니다. 건반이 눌렸을 때 반응하는 건반이 어느것인지 알아볼 수 ..
오늘은 소리가 포함된 예제문제를 풀어보려고 합니다. 아래와 같은 예제가 있다고 가정하고 프로젝트 결과물을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예제) 자동차가 80도 방향으로 굉음을 내면서 달려갑니다. 소리의 크기와 자동차의 색상은 변화가 있어야 합니다. 자동차는 convertible 3을 사용합니다. 스프라이트 고르기에서 convertible 3를 가져옵니다. 모양 탭을 클릭하고 모양 복사를 선택하여 두대의 자동차를 만들어 줍니다. 자동차 한 대는 빨간색으로 만들어 줍니다. 이미지 편집창에서 마우스로 변경할 부분을 선택한 다음 상단의 채우기 색 버튼을 누르고 원하는 색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채워집니다. 이제 모양이 두개인 자동차 스프라이트가 완성되었으므로 자동차 관련 소리를 가져와야 합니다. 소리 탭을 클릭하면 기..
비보잉에 소리와 배경을 삽입할 차례입니다. 소리 탭을 클릭하고 아래쪽에서 소리 고르기를 클릭합니다. 소리 역시 다른 스프라이트들과 마찬가지로 가져오기는 물론 녹음이나 업로드 등이 가능합니다. 소리 고르기를 클릭한 뒤 목소리 항목에서 'cheer'와 'ya'를 가져옵니다. 다시 코드탭으로 돌아와서 소리 팔레트에서 'ya 재생하기' 블록을 첫 번째의 'ㄷ'자 블록인 5번 재생하기 블록 내의 최상에 삽입합니다. 다음으로 역시 소리 팔레트에서 'ya 재생하기' 블록을 가져와 블록 군 전체의 가장 하단부에 삽입하고 소리 종류를 'cheer'로 바꾸어 줍니다. 이제 소리도 모두 집어 넣었으니 배경을 넣을 차례입니다. 에디터의 하단 가장 우측에 있는 배경 고르기를 클릭하여 실내 탭에서 'concert'를 선택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처음으로 소리가 들어가는 스크래치 파일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아래의 첨부된 압축파일을 다운로드하시고 압축을 풀면 춤추는 비보잉 4컷이 나옵니다. 압축이 풀린 4장의 그림 중 서있는 대기모드의 1번 그림을 에디터의 우측 하단에 있는 스프라이트 업로드하기 버튼을 눌러서 업로드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다음 좌측의 모양 탭을 누른 뒤 모양 업로드하기를 눌러서 나머지 3개의 파일들을 모두 차례대로 업로드해줍니다. 이미지들을 모두 업로드하면 아래의 이미지에서 처럼 에디터의 모양 탭에서 봤을 때 4개의 모양이 있게 됩니다. 이제 작업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1번 이미지가 선택된 상태에서 코드 탭을 누르고 이벤트 팔레트에서 '클릭했을 때' 블록을 가져옵니다. 다음으로 동작 팔레트를 클릭하고 'x: 0 y:..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전 시간에 만든 화살표 및 버튼에 반응하는 스프라이트를 삽입하고 배경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화면의 중앙에서 버튼의 메시지에 반응하는 객체를 만들어야 합니다. 저는 'shark2'를 골랐습니다. 이름을 상어로 바꿔 줍니다. 스프라이트창에서 상어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코드 탭의 이벤트 팔레트에서 '시작 신호를 받았을 때' 블록을 가져옵니다. 왜냐하면 상어는 각종 버튼들에서 앞으로 신호를 받는 대상인 객체이기 때문입니다. 시작을 왼쪽으로 변경하고, 동작 팔레트에서 '90도 방향 보기' 블록을 가져옵니다. 시계방향으로 오전 9시 방향을 봐야 하므로 90을 -90으로 수정해 줍니다. 형태 팔레트를 클릭하고 '다음 모양으로 바꾸기' 블록을 가져옵니다. 그 다음으로 다시 동작 팔레..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