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윈도우 캡처 도구는 2D 이미지 만을 캡처하는 도구로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윈도우 업데이트를 통해 2D 이미지는 물론 사운드 녹음이나 동영상 녹화까지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중 가장 주목할 만한 기능은 당연히 동영상 녹화 기능입니다. 이전의 동영상 녹화 방식은 녹화 전용 유료 앱을 구매하거나 불편한 게임바 녹화 방식을 사용하거나 다소 조잡한 무료 버전 앱을 이용하는 방식 등이 혼용되었습니다. 캡처도구가 없다면 MS스토어로 이동해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어쨌든 동영상 녹화 기능을 실제로 테스트해 보기 위해 유튜브의 임의의 동영상을 소형화시킨 다음 그 부분만 사용자 영역지정 방식으로 녹화해 보는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그런데 테스트를 시작하자마자 발생한 첫 번째 문제는 녹화한 영상에서 소리..
제 경우에는 윈도우 10을 사용하는 동안 이미지 변환 기능이 있는 픽픽 에디터를 이용해 이미지 캡처 작업을 하고 보조적으로 필요할 때에만 마우스를 이용한 캡처 시 윈도우 캡처 도구를 사용해 왔습니다. 그런데 윈도우 11로 OS를 업그레이드한 이후로 픽픽에서의 캡처키로 등록해 둔 PrtScr 키를 눌렀을 때 캡처 도구 바가 뜨고 캡처 작업까지는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캡처 후 이미지가 편집 화면으로 전환되어야 하는 데 이 단계 이후로 아무런 반응이 없는 오류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당연히 저장도 할 수 없었습니다. 자동 저장되는 것도 아니고 캡처한 다음 영역 지정일 경우 영역지정 완료까지 모두 되지만 이후에 캡처한 이미지가 편집 상태로 변해야 하는 데 이후의 과정이 사라지고 없는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윈도우 설치 후 기본형은 스크린 캡처의 메모리 내장입니다. 즉, 스크린 캡처 키를 누르면 PC의 화면상 아무런 변화가 없고 메모리에만 복사한 내용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이 상태에서는 PC를 재시작하거나 다른 것을 복사하면 내용물이 사라집니다. 따라서, PrtScr 키를 눌렀을 경우에는 바로 그림판 등을 열어 붙여 넣기 해야 이미지화할 수 있습니다. 이때의 캡처 방법은 PC의 전체화면 복사 한 가지로 고정됩니다. 하지만 원하는 영역만 캡처하기를 더 선호하는 분들은 PrtScr 키를 윈도우 캡처 도구 앱에 연동시켜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연동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의 경로로 들어갑니다. 윈도우 설정 > 접근성 > 키보드 위의 항목에서 하단으로 내리면 Print Screen 바로 가기라는..
원래 기본 모드는 PrtSc 프린트 스크린 키를 누르면 메모리의 클립보드에 컴퓨터 화면 전체의 이미지를 복사하여 저장하고 있는 상태가 되고 그림판 등의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에서 붙여 넣기를 하면 그 이미지를 편집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프린트 스크린 키를 누르면 변화없이 클립보드에만 복사되는 것이 아니라 윈도우 캡처 전문 앱인 캡처 도구가 연동되어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작동되면 해당 증상을 전체화면 스크린샷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동영상으로 올립니다. 이 문제는 오류는 아니고 윈도우즈 설정을 실행시킨 다음 아래의 경로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윈도우 설정 > 접근성 > 키보드 > Print Screen 바로 가기 기능이 켜져 있기 때문입니다. 해당 설정을 클릭하여 끄도록 합니다. 윈도우 ..
오늘 소개해 드릴 프로그램은 화면 캡처 전용 크롬 플러그인입니다. 윈도우즈의 캡처 도구나 키보드의 프린트 스크린 키로는 스클 롤 해야 볼 수 있는 브라우저의 아래쪽 숨겨진 화면까지 캡처는 기술적으로 불가능합니다. 또한 스크롤 캡처는 웹 브라우저에 있는 내용을 캡처할 때만 사용한다는 점에 착안해 볼 때 크롬 플러그인 형태로 설치해 두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는 결론입니다. 크롬 브라우저에서 좌측 상단의 앱이라고 써진 부분을 클릭해서 'Screenshot Capture & Editor Tool'을 검색한 다음 크롬에 설치해주면 됩니다. 플러그인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서버를 운영하지 않으므로 바로 사용자의 PC에 캡처 이미지를 PNG 포맷으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 로그인 또는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