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제한 파일들이 휴지통에 아직 남아 있는 경우의 복원 방법으로 윈도우 11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휴지통에서도 삭제되었다면 이는 영구삭제를 의미하므로 복원이 상당히 힘들어 지게 됩니다. 1. 휴지통 파일의 복원 파일을 삭제했지만 아직 휴지통에 파일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복원이 매우 간단합니다. 일부 파일만 복원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파일을 선택한 다음 마우스 우클릭후 삭제 취소를 클릭하면 됩니다. 전체 파일을 복원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단 메뉴의 모든 항목 복원을 클릭하면 됩니다. 2. 휴지통 영구 삭제 대기 기간의 조정 윈도우 휴지통 기본 대기 기간은 30일입니다. 즉, 파일 삭제로 인해 휴지통으로 이동된 파일은 30일이 지나면 휴지통에서 영구 삭제되게 됩니다. 이 기간은 디스크 공간 확보 ..
윈도우에서 파일을 삭제하는 형태는 크게 네 가지 정도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설정은 바탕화면에 있는 휴지통을 우클릭한 후 속성 창을 열어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만일 휴지통 아이콘이 보이지 않는 다면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한 후 개인 설정을 선택합니다. 개인 설정 창에서 테마를 선택한 다음 우측 창에서 바탕 화면 아이콘 설정을 클릭하시고 휴지통 등에 체크 표시하면 됩니다. 1. 삭제시 대화창 없이 즉시 영구 삭제 휴지통을 우클릭한 후 '파일을 휴지통에 버리지 않고 삭제할 때 바로 제거' 옵션을 선택하고 '삭제 확인 대화 상자 표시' 옵션은 선택하지 않는 설정입니다. 파일 삭제를 클릭하면 휴지통으로 옮겨지는 것이 아니라 즉시 영구 삭제되며, 파일 삭제 여부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대화창도 ..
윈도우 휴지통이 보이지 않거나 오류를 일으켰을 때 시도해 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1. 휴지통이 안 보일 때 휴지통이 안 보이는 경우 가장 먼저 체크해 보아야 할 부분은 혹시라도 바탕화면 설정 항목에서 보이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는 건 아닌지 확인 보는 것입니다. 윈도우 설정 > 개인 설정 > 테마 > 바탕화면 아이콘 설정에서 휴지통이 체크 표시되어 있지 않다면 휴지통을 보이지 않도록 설정한 것입니다. 휴지통에 체크 표시하면 바탕화면에 휴지통이 나타나게 됩니다. 바탕화면 아이콘 설정을 통해 다시 바탕화면에서 바로가기가 보이지 않거나 또는 보이도록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은 내 PC, 사용자 계정, 네트워크, 휴지통입니다. 2. CMD를 통한 휴지통 내용물 삭제 및 재설치 작업 표시줄의 검색창에 CMD라고 입력..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