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1 뿐만 아니라 윈도우 10 이하 버전은 물론 심지어 사용자 계정 컨트롤(UAC, User Account Control) 을 제거한 PC라 할지라도 특정한 윈도우 업데이트 이후에 이 기능이 마치 좀비처럼 되살아 나기도 합니다. 아래에서는 윈도우 기본앱이 아닌 외부 앱을 설치 또는 실행할 때마다 뜨는 사용자 계정 컨트롤 팝업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용자 계정 컨트롤 팝업의 내용은 아래의 이미지처럼 '이 앱이 디바이스를 변경할 수 있도록 허용하시겠어요?'라는 내용으로 설치하기 위해서 클릭했는데 다시 진짜 설치할 거냐고 다시 묻는 반복 방식이라 혼자 사용하는 컴퓨터의 사용자는 매우 답답한 기능입니다. 1. 윈도우 시작 버튼을 누르고 UAC를 입력한 다음 열기를 누릅니다. 사용..
예를 들어 확장자 LNK 파일과 같이 바탕 화면의 바로 가기 아이콘이므로 보안과 관련하여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확신하는 경우에 위와 같은 보안 경고창이 실행시마다 뜨고 그때마다 열기 버튼을 한번 더 눌러 주어야 한다면 상당히 번거롭고 짜증 나게 됩니다. 이 경고창을 해제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1.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경고 팝업 창이 열리는 파일 또는 바로 가기 아이콘이 한두 개에 그칠 때 시도해 볼 만한 방법입니다. 경고 창을 만드는 해당 파일을 우클릭한 다음 속성을 클릭합니다. 속성 창에서 바로 가기 탭을 선택한 다음 고급 버튼을 누르고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에 체크합니다. 이후, 확인 및 적용 버튼을 눌러 해당 파일에 대한 실행 명령 시 항상 관리..
특정한 앱을 실행할 때마다 귀찮게 뜨는 " 이 앱이 디바이스를 변경할 수 있도록 허용하시겠어요?"라는 사용자 계정 컨트롤(User Account Control: UAC) 확인창이 정말 피곤한 분들을 위해 포스팅합니다. 저 역시 피곤해져서 쓰게 되었습니다. 컴퓨터 주인이 그 앱을 클릭한다면 이미 내가 이 앱을 쓴다는 의사표시를 한 건데 "정말 쓰시겠어요?"라고 또 물어보는 것과 비슷한 상황입니다. UAC 경고창을 화면 캡처하여 자료 이미지로 쓰기 위해 제 PC에 설치된 알집 아이콘을 관리자 고급 설정에서 권한으로 실행되게 설정하였습니다. 그런데 UAC 설정이 기본값인 상태에서는 전체 화면으로 출력되는 경고창을 프린트 스크린 키로 캡처할 수 없었습니다. 보안 수준을 한 단계 낮추니 UAC 경고창이 전체 창이..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