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즈에서 마우스 우클릭에 의한 복사, 붙여넣기가 안되는 경우의 3가지 해결 방법
- IT/IT
- 2019. 12. 13.
윈도우즈 10, 8, 7에 모두 해당되는 해결방법으로, 파일 또는 텍스트 등을 윈도우즈 상에서는 대부분 마우스 우클릭 후 나오는 메뉴에서 복사를 누른 뒤, 붙여 넣기 할 영역에서 다시 우클릭하여 붙여 넣기를 하게 됩니다.
그런데 마우스 우클릭에 의한 복사 또는 붙여넣기가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이 문제에 대한 3가지의 해결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Ⅰ. echo off|clip
먼저 작업표시줄의 윈도우즈 시작 옆에 있는 검색 버튼을 누른 후 cmd라고 입력한 뒤, 위에 나오는 명령 프롬프트를 마우스 우클릭한 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클릭합니다.
위의 그림처럼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클릭하면 검은 바탕의 명령 프롬프트 창이 뜨게 되는데 이곳에 아래와 같은 문구를 타이핑합니다.
아래의 문구를 블록 지정 Ctrl+C 한 뒤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Ctrl+V 하셔도 됩니다.
echo off|clip
off와 clip 사이의 세로바는 키보드의 엔터키 바로 옆에 있는 원화표시 키를 쉬프트 키를 누른 채로 치면 나오는 문자입니다. echo off|clip는 복사되어 있는 메모리 클립보드의 내용을 모두 비워서 초기화하라는 명령어 입니다.
그다음에 exit라고 두 번에 걸쳐 타이핑하시면 관리자 권한의 명령 프롬프트 창이 닫히게 됩니다.
관리자 권한의 명령 프롬프트 창이 닫혔으면 윈도우즈를 재시작시킵니다.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마우스 우클릭 복사, 붙여 넣기를 시도해 봅니다.
만약, 이 방법으로도 해결되지 않았다면 다음 방법으로 넘어가 봅니다.
Ⅱ. sfc /scannow
두 번째의 방법에서는 위에서 관리자 권한의 명령 프롬프트 창을 띠우는 시점까지는 동일하게 해 주시면 됩니다.
관리자 권한의 명령 프롬프트 창이 떴으면 아래와 같은 문구를 타이핑합니다.
sfc /scannow
sfc /scannow는 시스템 파일 검사 도구로서 누락되었거나 손상된 윈도우즈 시스템 파일이 있는지 검사하여 발견시에는 복구하는 도구입니다.
위의 문구를 타이핑한 뒤 엔터를 치면 아래와 같이 시스템 검사가 시작됩니다.
많은 시간이 걸리지는 않으니 조금 기다리시면 완료가 되고 이어서 결과창이 뜨게 됩니다.
exit를 타이핑한 뒤 관리자 명령 프롬프트가 사라지면 전단 계와 마찬가지로 윈도우즈를 재시작합니다.
만약, 위와 같은 두 번째 단계로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면 세 번째 단계를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Ⅲ. cleanup-image
위의 문제 해결 시도 방법들과 마찬가지로 관리자 권한의 명령 프롬프트 창을 실행시키시기 바랍니다.
관리자 권한의 명령 프롬프트 창이 로딩되었으면 아래와 같은 문구를 타이핑한 뒤 엔터를 칩니다.
dism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위의 명령어는 윈도우즈 업데이트 기능을 이용하여 손상되거나 누락된 윈도우즈 이미지를 복구하는 기능입니다.
아래의 이미지처럼 약간의 시간 동안 작업이 진행되게 됩니다. 이 옵션은 윈도우즈 업데이트 도구가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있고 작동이 가능한 상황에서 유효합니다.
온라인으로 연결이 불가능하여 오프라인상에서 이미지 복구를 시도하여야 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치환하면 가능합니다.
Dism /Image:C:\off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Source:c:\test\mount\windows
다시 내용으로 돌아와서 dism 명령을 입력하였으면 복구과정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 주시기 바랍니다.
복원작업을 완료하였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뜨고 난 뒤 exit를 타이핑하여 명령 프롬프트 창을 종료합니다.
윈도즈를 재부팅한 뒤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IT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즈 10에서 모니터 화면의 잦은 깜빡거림 해결 방법 (20) | 2019.12.26 |
---|---|
구글 크롬 브라우저 스크롤바 크기 조절하기 (0) | 2019.12.26 |
윈도우즈10 느려졌을 때의 5가지 조치 사항 정리 (0) | 2019.12.01 |
윈도우즈10 최적화 팁 - 시스템에서 페이지 파일 크기를 관리하는지 확인 (2) | 2019.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