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나 모바일에서 보통 흰 바탕에 검은색 글씨 또는 검은색 바탕에 흰색 글씨인 구성이 갑자기 검은색 계열의 바탕색에 노란색이나 하늘색, 보라색 등의 글씨로 변경된 경우에는 대부분 고대비 또는 대비 테마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입니다. 윈도우10 이전 운영체제에서는 보통 고대비라고 불리던 기능이며, 윈도우11에서는 대비 테마라고 불리며 4가지 중 하나를 선택해 지정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이는 저시력자나 색의 구분에 어려움을 겪는 사용자들을 위해 일반적인 설정보다 색 대비를 강화시킨 구성으로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는 너무 자극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인들의 경우에는 고대비 모드에서는 오히려 상당한 시각적 불편을 느끼게 되어 일반 모드로 변경해야 합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윈도우11의 대비 테..
마치 검은색에 네온사인이 있는 것과 같은 고대비 화면으로 윈도우 화면이 변경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윈도우의 접근성 설정 또는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저시력자 또는 빛 민감성 사용자를 위한 대비 테마가 활성화될 경우에 작동됩니다. 대비 테마에서는 텍스트와 앱을 더 쉽게 볼 수 있도록 눈에 잘 띄는 색을 사용하게 됩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윈도우 11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 중 대비 테마를 수동으로 작동시킨 모습입니다. 대비 테마를 작동하거나 해제하는 단축키는 "왼쪽 Alt키 + 왼쪽 Shift키 + 프린트스크린키"입니다. 만일 해당 단축키 사용으로 반전 모드인 대비 테마가 해제되지 않는 경우에는 직접 윈도우 설정으로 들어가 해당 테마를 꺼주어야 합니다. 이러한 오류가 발생하는 원인은 대부분 외부 캡처 프로그..
키보드를 닦거나 청소 도중 키가 잘못 눌려 전반적으로 검은색이 많이 쓰이는 윈도우의 고대비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원래 고대비 기능은 시력에 문제를 겪는 분들을 위해 설정되어 있는 색상 대비를 강화시킨 윈도우의 특수 기능입니다. 정상적인 상황에서 이 고대비 기능이 활성화 되면 이를 처음 접하는 분들은 다소 파격적이고 이상한 색상 배치에 놀라 고장 난 것이 아닌가 걱정을 하게 되기도 합니다. 대략 고대비가 켜지게 되면 구글 크롬에서 네이버 메인 화면에 접속했을 때, 아래와 같은 모습이 됩니다. 이러한 고대비 기능을 끄고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려면 단축키 왼쪽 Alt + 왼쪽 Shift + Print Screen 키의 조합을 눌러 주면 고대비 기능이 꺼지면서 문제가 해결됩니다. 다만, 화면 캡처 ..
윈도우 접근성 기능 중 고대비 기능은 색상의 대비가 낮은 텍스트는 시력이 낮은 사용자가 읽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윈도우에는 강력한 대비 색을 통해 PC에서 텍스트를 더 빠르고 쉽게 읽을 수 있도록 고대비 테마를 설정할 수 있지만 해제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대비 기능의 해제에 문제가 생긴 경우에 아래의 몇가지를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1. 고대비 설정 해제 윈도우 설정 > 접근성 > 고대비에서 고대비 켜기 기능이 꺼져 있는지 확인합니다. 2. 설정 동기화로 인한 간섭 검토 현재 PC의 윈도우에 로그인하는 계정이 고대비를 사용 중인 다른 기기와 설정 동기화 중이 아닌지 검토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현재 PC에서 고대비 기능을 제거하더라도 설정 동기화..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