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보드의 파워 항목에 있는 메뉴 용어의 뜻에 관한 해설입니다. 제가 사용 중인 메인보드는 기가바이트 보드로 메뉴명은 메인보드의 제조사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의 내용들은 윈도우 시스템에서 고질적으로 발생하는 이유 없는 재부팅 현상인 Event id 41번 Kernel Power 문제 해결을 위한 최종적 시도 방법이라고 할 수 있는 바이오스 업데이트 이후 파워 메뉴 설정을 위한 메뉴 해설입니다. 1. High precision event timer 흔히 고정밀 이벤트 타이머(HPET) 또는 멀티미디어 타이머라고 부르며 기존 TSC 타이머나 ACPI 타이머등보다 좀 더 오차가 적은 정밀한 타이밍으로 CPU의 오버헤드를 줄여주게 되어 프로그램 구동 시 좀 더 정밀한 동작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멀티미디..
바이오스 업데이트는 의외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두에서 원인을 찾을 수 없는 오류가 자주 발생하는 경우에 시도해 볼 만한 시스템 최적화 방법 중의 하나입니다. 굳이 오류 때문에 업데이트를 고려하지 않더라도 시스템 안정화를 위해서는 자주 메인보드 바이오스 업데이트 버전이 출시되었는지 확인하고 업데이트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제가 현재 사용중인 GA-A320M-H 메인보드는 rev1, rev2, rev3 버전이 있는데 시작 시 Ultra Durable 로고가 나오는 버전은 rev1입니다. 아래에서는 제가 업데이트한 순서를 기준으로 바이오스 업데이트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하려고 합니다. 대략 먼저 Cpu-z을 설치해 메인보드와 바이오스의 현재 이름을 알아낸 다음, 기가바이트 홈페이지에서 메인보드 모델명..
제가 쓰고 있는 메인보드는 기가바이트의 A320M-H-CF 모델에 CPU는 AMD 라이젠 5 3500X입니다. 구입하고 처음에는 소음이 신경에 거슬리거나 하지는 않았는 데 한 달쯤 지나니 조용한 밤중에는 조금 크게 들리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BIOS 설정에 들어가 쿨러 소음 옵션을 조금 더 조용해지도록 설정하고 2번 항목의 윈도우 설정까지 마치고 나니 조금은 나아진 듯합니다. 기본 세팅 방식의 진행은 아마도 메인 보드나 하드 웨어 사양이 다른 PC의 경우에도 동일한 패턴으로 작업해 주시면 PC의 쿨링 팬 소음 감소에 도움이 되지 않을 까 생각합니다. 1. CMOS 설정 변경 모든 메인보드가 그렇겠지만 PC의 쿨러들은 메인보드에서 관리한다는 점에 착안해 CPU 온도가 약간은 올라가더라도 팬 소음을 줄이는..
구입한 지 얼마 되지 않았고 하드 디스크로 SSD를 사용하는 추세를 생각한다면 사실 기가바이트 메인보드 사용자의 BIOS에 있는 Fast Boot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 지는 의문입니다. 하드 드라이브가 모두 SSD를 사용하며 시스템 사양이 중간 이상이라면 최고 옵션인 Ultra Fast 옵션을 지정해도 Disable의 경우보다 훨씬 빠르다는 체감을 느끼기 힘듭니다. 그냥 약간 빠르거나 비슷하다고 느끼는 정도입니다. 그래서인지 Fast Boot 옵션의 기본값은 Disable입니다. 아마도 SSD를 사용하지 않으며 고사양이 아닌 PC의 경우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제 Fast boot 옵션을 설정해 보겠습니다. 제 PC의 메인 보드는 A320M-H-CF 모델이므로 다른 기가바이트 모델을 쓰시는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