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크에서 신규 설치 등의 이유로 할당되지 않음으로 표시되는 공간을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드는 방법 및 분할되어 있는 파티션을 하나로 병합하여 단일 파티션이 되도록 만드는 방법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디스크 관리 열기할당되지 않음으로 표시되는 공간을 작업하기 위해서는 먼저 디스크 관리자를 열어야 합니다.윈도우 시작 버튼을 우클릭하거나 Win+X 단축키를 눌러 디스크 관리자를 엽니다. 2. 할당되지 않은 공간 찾기디스크 관리자에서 작업하고자 하는 할당되지 않은 공간을 찾아야 합니다.디스크 관리자에서 각 디스크중 할당되지 않은 공간은 검은색으로 표시되며 할당되지 않은 공간이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3. 새 파티션 만들기 - "할당되지 않음" 공간을 마..
하나의 물리적 디스크에 이미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거나 보존하고 싶은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데이터를 보존한 상태에서 새로운 파티션을 만들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윈도우 10 또는 윈도우 11 운영체제에서 이와 같은 작업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러한 작업은 시스템 작업에 속하므로 혹시 모를 사태를 대비하기 위해 가능한 중요한 데이터는 백업을 해 둔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두 개의 물리적 디스크가 달려 있는 현재 사용 중인 제 PC에서 진행한 테스트 작업입니다. 첫 번째 디스크에는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고, 데이터 저장용으로 사용 중인 두 번째 디스크에서 테스트 작업을 진행해 보았습니다. 윈도우 시작 버튼을 마우스 우클릭한 다음 컴퓨터 관리를 클릭한 다음 디스크 관리..
보통 윈도우즈는 윈도우가 설치된 물리적 디스크의 내부에 복구용으로 사용할 100MB와 500MB 내외의 용량을 가진 복구용 파티션과 시스템 파일을 설치하게 됩니다. 시스템 파일로 파일 탐색기에서는 보이지 않게 되며 파티션을 나누어 데이터의 간섭이 없게 보관하지만 사용할 용도가 아니므로 따로 드라이브 문자도 할당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PC 사용중 의도치 않게 100메가 또는 500메가의 시스템 복구용 파티션에 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위의 이미지에서 E 드라이브로 할당되어 있는 532메가의 파티션 드라이브 공간은 사실 복구용 파티션이므로 드라이브 문자가 할당되어서는 안 되는 공간입니다. 파일 탐색기에서 보면 이 복구용 파티션은 시스템 영역으로 거의 사용중임에도 감추어져 있으므로 빈 드라이브로..
윈도우를 새로 설치하고 나서 디스크 관리에서 메인 디스크를 관찰해 보면 복구 파티션이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대부분은 몇백 메가 정도의 용량을 차지하며 1기가를 넘지 않는 것이 보통입니다. 이러한 복구 파티션의 용도 및 삭제 방법 등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복구 파티션은 보통 최소 300메가에서 500메가 안팎의 용량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통입니다. 1. 복구 파티션의 용도 일반적으로 복구 파티션은 윈도우즈의 오류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윈도우즈 자체에서 생성된 복구와 관련된 파티션과 컴퓨터 제조업체에서 쉽게 복구하기 위한 용도로 설정한 복구 파티션의 두 종류가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이든 이러한 복구 파티션을 제거할 경우에는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했을 경우 백업이나 복구 등의 정상적인 윈도우즈로의 복구..
일전의 포스팅에서 MiniTool Partition Wizard 한번 다룬 적이 있습니다. 디스크 관리 유틸 MiniTool Partition Wizard 그때에는 데이터 복구의 관점에서 다뤄 보았습니다. 다만, 현재는 데이터 복구 쪽을 분리하여 MiniTool Power Data Recovery라는 독립된 프로그램으로 출시한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현재에는 MiniTool Partition Wizard는 주로 디스크 관리, 파티션 관리 등의 관점으로 더욱더 집중한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의 주소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며, pw12-free.exe 파일이 가장 정확것 같습니다. 아래의 이미지를 누르고 다운로드 센터로 이동한 다음 MiniTool Partition Wizard Free Edition을 다운로드..
이번 포스팅에서는 GUI 모드의 디스크관리자가 아닌 cmd 명령창을 이용해 diskpart 도구를 로딩한뒤 명령어로만 드라이브나 파티션 등을 관리하거나 포맷시키는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명령창이 뜨면 먼저 diskpart 라고 칩니다. diskpart 영역에서 파티션작업, 드라이브 작업, 포맷작업 등을 할 수 있습니다. 작업을 끝낼때는 exit 라고 치면 됩니다. 먼저 디스크를 보는 방법은 list disk 파티션을 보는 방법은 list partition 입니다. 특정 디스크 또는 파티션을 선택지정해서 작업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선택하는 명령어는 select disk 00 select partition 00 등입니다. 예제를 통해 연습해 보겠습니다. 두개의 하드디스크가 달린 PC일 경우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