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0 또는 윈도우 11의 바탕 화면 아이콘들이 실제 경로 폴더에 있는 아이콘들과 모습이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윈도우의 바탕 화면 경로는 하나의 폴더가 아니라 두 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제 PC의 바탕 화면 모습입니다. 바탕 화면에 있는 아이콘들의 알려져 있는 일반적인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C:\Users\사용자\Desktop 그렇지만 해당 경로로 들어가 보면 대부분 실제 바탕 화면보다 휑하게 비어 있는 바탕 화면 폴더 내의 아이콘들을 보게 될 것입니다. 제 PC를 보았을 때 아래와 같은 식으로 말입니다. 실제 바탕 화면의 아이콘 절반도 보이지 않고 있네요. 그 이유는 윈도우 바탕 화면의 구성은 두 개의 폴더를 참조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살펴본 바..
바탕 화면, 내 문서, 동영상, 사진, 음악 등의 특수 폴더들은 마우스 우클릭을 한 다음 속성을 선택하고 위치 탭을 클릭하면 해당 폴더의 고유 위치가 보입니다. 이 고유 위치들은 해당 주소 바로 아래의 가운데에 있는 이동 버튼을 눌러 원하는 위치의 폴더를 지정해 기본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바탕 화면의 위치를 기본 위치에서 D 드라이브로 지정해 주었을 경우에 파일 이동에 관하여 예를 눌러 주게 되면 기존의 바탕 화면에 있던 아이콘들을 그대로 D 드라이브로 옮겨와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시 바탕 화면의 원래 기본 위치를 사용하고 싶을 경우에는 바탕 화면을 우클릭한 다음 속성에서 위치 탭으로 간 다음 기본값 복원을 선택하면 원래의 바탕 화면 고유 위치 기본값으로 경로를 수정하게 됩니다. ..
윈도우 11이 출시하면서 전통적으로 위치해 있던 그림판 실행 파일 위치가 변경되었습니다. 다만, 실행 파일의 명칭인 mspaint.exe라는 이름은 동일합니다. 아래에서는 두 OS 간의 그림판 파일 위치를 비교하고 각각 바탕화면 바로가기 아이콘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작업을 위해서는 시스템 폴더를 볼 수 있어야 하므로 탐색기의 폴더 옵션에서 가능하면 숨김 파일이나 확장자를 표시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윈도우 10의 그림판 윈도우 10에서 그림판의 지정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 C:\Windows\System32\mspaint.exe 위의 경로로 들어간 다음 해당 파일을 마우스 우클릭한 다음 바로 가기 만들기를 클릭하면 바탕 화면에 바로 가기를 만들겠냐는 창이 뜨게 됩니다. 예를 ..
마이크로소프트의 과거 주력 브라우저였던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실행 위치를 찾는 포스팅입니다. 현재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구글의 크롬, 마이크로소프트의 엣지, 모질라의 파이어폭스 브라우저를 사용하므로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잊혀가는 웹브라우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공공기관들에서는 이미 익스플로러를 기준으로 만들어 둔 플랫폼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예산이 집행되는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아직도 익스플로러에서만 작동되는 사이트들이 남아 있습니다. 문제는 최신 버전의 윈도우10에서는 컴퓨터에 대해 이해가 부족할 경우 엣지나 크롬이 아닌 익스플로러의 실행 위치를 찾는 것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간단한 문제이지만 소수의 어려움을 겪을지도 모를 분들을 위해 이 글을 포스팅합니다. 아..
앱이나 윈도우에서 다운로드 경로가 지정된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웹에서 다운로드하는 경우는 다운로드 작업을 진행 중인 웹 브라우저의 파일 다운로드 경로 지정 사용자 설정을 따르게 됩니다. 아래에서는 브라우저 별로 다운로드 경로를 어떻게 사용자 설정하는지 간략히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1. 구글 크롬 웹 브라우저 웹서핑 도중 크롬 브라우저에서 이미지나 파일 등을 다운로드할 때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폴더로 다운로드되며, 사용자가 저장할 경로를 다운로드할 때마다 물어보게 할지 아닌지 역시 사용자가 지정한 옵션에 따르게 됩니다. 이러한 구글 크롬 브라우저에서의 다운로드 경로 및 다운로드할때마다 물어볼지의 여부를 지정하는 옵션은 아래의 경로에 존재합니다. 크롬 브라우저 우측 상단 3점 클릭 > 설정 > 고급 >..
윈도우10의 경우에 기존의 제어판과 새로운 윈도우 설정 두 개의 윈도우 시스템 설정 관련 앱이 병존해 왔으나, 앞으로는 제어판의 기능을 최종적으로는 윈도우 설정 앱으로 통합하는 것이 목표라고 합니다. 제어판은 윈도우 초기 버전부터 지속되던 가장 중요한 시스템 앱으로 불리고 있으니 통합 작업이 쉽지는 않으리라고 봅니다. 하지만 MS는 이미 기존의 내 PC를 우클릭하여 속성을 선택하면 보이던 시스템 속성 항목을 윈도우 설정으로 이동시켰습니다. 이에 따르는 후유증은 사용자들의 몫입니다. 그래서 3가지의 왕초보를 위한 경로 설명을 준비해 봤습니다. - 시스템 속성에 들어 가는 경로 - 디스크 정리에 들어 가는 경로 - 제어판에 들어 가는 경로 내용은 별거 없습니다. 고수분들은 그냥 가던 길 가시기 바랍니다. 1..
윈도우 로고키와 프린트스크린키를 누르면 스크린샷 이미지는 자동으로 지정된 폴더에 저장됩니다. 겉으로는 아무런 변화가 없으나 저장되는 경로에 있는 폴더에는 스크린샷.png라는 이름으로 자동 저장되게 됩니다. 이후에는 숫자만 증가하는 형식입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메카니즘은 윈도우 파일 탐색기의 좌측 카테고리에 있는 다운로드, 동영상, 문서, 링크, 음악, 연락처 등의 모든 대표 경로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즉 다운로드 폴더를 변경하려면 아래에 설명한 메카니즘처럼 우클릭후 속성의 위치탭에서 작업해야 합니다. 1. 스크린샷 자동저장 기본 경로 윈도우의 기본 스크린샷 자동 저장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C:\Users\사용자계정\Pictures\Screenshots 위의 경로는 한글 윈도우에서의 경로로 풀어쓰면..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