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작업 표시줄에 고정되어 있는 바로가기 아이콘을 바탕화면에 만들고 작업 표시줄에서는 삭제하고 싶은 경우에 대한 설명 포스팅입니다. 윈도우 11을 사용 중인 터라 윈도우 11을 예로 들어 설명을 진행하지만 윈도우 다른 버전의 경우에도 거의 유사한 경로로 작업해 주시면 됩니다. 1. 작업 표시줄에서 속성을 열 수 있는 경우 먼저 작업 표시줄에서 바탕화면으로 옮기고자 하는 바로가기 아이콘을 마우스로 우클릭합니다. 우클릭할 경우 위의 캡처 이미지와는 다르게 여러개의 항목이 보일 수도 있는 데, 작업 표시줄에 고정되어 있는 아이콘과 동일한 아이콘이 있는 줄을 다시 한번 우클릭합니다. 이때, 속성이라는 항목이 보인다면 속성을 클릭합니다. 속성 창이 뜨면 대상이라는 부분의 내용을 마우스 우클릭하여 전체 복사해 ..
실수로 바탕화면에 있는 파일 탐색기 바로 가기 아이콘이 삭제되었거나 다른 위치에 바로가기를 두고 사용하던 사용자가 원래대로 바탕화면에 파일 탐색기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이 작업은 매우 간단히 만들 수 있습니다. 파일 탐색기를 열고 C:\Windows 경로를 열어 봅니다. 파일 탐색기 상단 메뉴에 있는 탐색기 옵션에서 숨김 파일 표시로 해야 보일 수도 있습니다. 탐색기에서 C:\Windows의 우측 파일 항목중에 파일 탐색기의 실행 파일인 explorer.exe가 보입니다. explorer.exe 마우스 우클릭한 다음 보내기 > 바탕 화면에 바로 가기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여기까지 작업하면 간단하게 바탕화면에 파일 탐색기의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들 수 있습니다. 간단한 작업이지만 막상 하..
스캔한 문서 또는 개별 이미지들을 각각 별개의 PDF 파일이 아닌 하나의 PDF 파일 내에서 페이지로만 구분되도록 저장하는 간단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문서든 사진이든 스캔후에는 일단 이미지로의 변환이라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여기에서는 개별 이미지가 하나의 PDF 파일에 페이지로 구분되어 삽입되는 구조의 이해를 위한 샘플 작업만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PC 내부에 샘플 이미지라는 폴더에는 블로그 글 작성 중 연습용으로 쓰기 위한 샘플 이미지 파일이 8개 들어 있습니다. 이 파일들을 간단한 작업으로 하나의 PDF 파일로 묶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8개의 이미지 파일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모두 선택한 다음 우클릭합니다. 우클릭하면 팝업되는 메뉴 중 인쇄를 클릭합니다. 인쇄 설정..
윈도우 10의 사진 앱을 이용하면 여러 장의 이미지 파일들을 매우 손쉽게 하나의 PDF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사전작업으로 작업을 좀 더 편리하게 진행하려면 PDF 파일로 묶을 이미지들을 하나의 폴더에 모아 둔 다음 각 파일들의 이름 앞쪽에 번호를 만들어 주면 손쉽게 진행할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은 순서대로 진행하면 됩니다. 물론, 좀 더 쉬운 방법으로 Acrobat Pro DC를 설치하면 png 파일을 우클릭했을때 바로 PDF 파일로 변환이라는 메뉴가 생기게 되므로 가장 쉬운 방법에 해당합니다. 1. 윈도우 10의 사진 앱 열기 윈도우 10을 설치하면 기본으로 설치되는 사진 앱을 실행합니다. 사진 앱의 위치는 윈도우 시작 버튼을 누르고 아래로 내리면 보입니다. 2. 사진 앱에서 폴더 열기 사진 앱..
예전부터 사용자들이 좀 더 빠른 시작 종료 동작을 위해 많이 사용해 왔던 방법입니다. 만드는 방법은 메모장에 명령 구문만 적어준 다음 텍스트 문서 확장자인 TXT를 명령 프롬프트 확장자인 CMD로 변경해 주면 작업이 완료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각기 다르게 작동하는 컴퓨터의 전원 관리 버튼인 절전 모드, 최대 절전 모드, 시스템 재시작, 시스템 종료의 4가지 바로가기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메모장으로 4가지 작업 및 cmd 생성 메모장을 꺼내 아래의 문구들을 각각 적어주고 저장할 때 해당 특성을 이름으로 정해줍니다. - 절전 모드 powercfg -h off rundll32.exe powrprof.dll,SetSuspendState 0,1,0 - 최대 절전 모드 powercfg -h on ru..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