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탕화면에서 마우스로 우클릭해 보면 새로 만들기라는 항목이 있고, 대표적으로 메모장의 txt를 비롯해, 압축파일인 zip, 한글문서인 hwp 등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내가 원하는 있었으면 하는 새로 만들기 메뉴가 누락되어 있거나 심한 경우에는 새로 만들기 자체가 없거나, 불필요한 새로 만들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레지스트리를 수정하여 해당 항목들을 복원하거나 제거할 수 있습니다. 제 컴퓨터의 새로 만들기에는 불필요한 새로 만들기들이 너무 많아 보입니다. 다만, 이 작업을 하려면 해당 문구가 의미하는 프로그램과 확장자를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어야 합니다. 모르겠다면 구글의 도움을 빌리면 됩니다. 제가 보기엔 한컴오피스 한쇼 문서가 가장 불필요한 것 같습니다. 검색해 보..
이미지 파일이라던지 문서 파일을 하나의 폴더에 모아 두고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에 전체 파일을 목록화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메모장에 폴더 목록을 만들어야 할 경우에 파일 이름 하나하나 기록하려면 정말 짜증나는 작업이 될 것입니다. 이럴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명령 프롬프트 명령창을 열어 목록을 만들고자 하는 폴더로 이동한 다음 명령어를 이용해 메모장 파일을 생성시키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D드라이브의 '이미지 자료'라는 폴더에 들어 있는 많은 이미지 파일들의 이름을 목록화하려고 한다고 가정해 봅니다. 작업표시줄의 검색창에 명령 프롬프트라고 입력한 다음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명령창에서 파일 목록을 만들고자 하는 폴더로 이동한 다음 'dir> 파일 이름...
PC에 메모장이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아 윈도우즈 메모장 파일인 txt 형식의 파일을 열 수가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의도적인 삭제 또는 오류로 인해 메모장이 삭제되거나 손상된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윈도우즈의 기본 프로그램인 메모장이 아예 존재하지 않으므로 윈도우즈의 연결 프로그램 기능을 이용할 수도 없습니다. 윈도우즈 업데이트 2004 버전부터는 윈도우즈 메모장이나 그림판의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하도록 업데이트되었으므로 이러한 현상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발생할 수 있으나 윈도우즈 설정에서 다시 재설치가 가능합니다. 사라진 메모장을 재설치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순서를 따르시기 바랍니다. - 윈도우즈 설정 > 앱 > 앱 및 기능 > '선택적 기능' 클릭 선택적 기능을 클릭한 다음 기능 추가 항목의 플러스..
윈도우 서브프로그램중 가장 친숙한 것들이 아마도 그림판,메모장,계산기 등이 아닐까 싶다. 그런데 거의 30년 가까이 큰 변화없이도 가벼우면서도 실용적인면의 어필때문에 부족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애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마이크로소프트는 메모장의 기능을 대폭 업데이트하기로 결정했다 한다. 윈도 내장 텍스트 편집기 '메모장(Notepad)'이 확 바뀐다. 올해 하반기 나올 윈도10 대형 업데이트, 코드명 레드스톤5(RS5)부터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업데이트의 주요 변화를 소개했는데, 텍스트 편집기 메모장에 신기능을 대거 투입해 편의성을 높인 점이 눈길을 끈다. 아마도 가장 큰 변화는 CR/LF(*13*10)에 Unix의 LF(*10)을 추가해서 이제부터는 유닉스와 리눅스 그리고 맥에서 작성한 텍..
HTML 파일은 메모장과 같은 텍스트 에디터로 만들 수 있고 나모 웹에디터나 드림위버, RedActor, Ckeditor 등과 같은 위지윅(WYSIWYG) 에디터로도 만들 수 있습니다. 텍스트 에디터는 HTML 태그를 입력하면서 편집을 해야 하는 반면 위지윅 에디터는 웹브라우저상에서 보여지는 형태로 편집이 가능하기에 보다 직관적인 작업이 가능합니다. 즉 텍스트 에디터는 메모장을 이용해 직접 소스코드를 수정해가며 결과물을 봐가면서 제작하는것과 같은 방식을 말합니다. 텍스트 에디터로는 에디트 플러스, 아크로 에디터, 크림슨 에디터, 노트패드 ++,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등이 있습니다. “위지위그(WYSIWYG: What You See Is What You Get, “보는 대로 얻는다”)는 문서 편집 과정에서..
HTML이 무엇인가를 설명하는 것보다는 HTML 파일을 직접 만들어 보는 것이 개념을 이해하는데 훨씬 도움이 됩니다. 그래서 우선 HTML 파일은 무엇으로 만드는지 부터 설명하면서 홈페이지 기초 강좌를 설명하겠습니다. HTML 파일은 메모장으로 간단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메모장을 이용하여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형식에 맞도록 태그를 작성하여 *.html(혹은 *.htm)이라는 확장자로 저장하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홈페이지 HTML 소스코드는 전통적인 방법은 메모장으로 작성하는것입니다. 수많은 웹페이지 작성의 가장 기본은 메모장을 이용한 소스코드편집, 그리고 이를 통한 실제 눈에 보여지는 웹페이지의 제어 입니다. 이제 메모장을 열어 실습을 해보겠습니다. 메모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