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윈도우 11 프리뷰 버전에만 적용되던 그림판 업데이트 버전이 드디어 정식 버전으로 자동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이 그림판은 윈도우 11 설치 후 업데이트를 모두 했다면 자동으로 업데이트됩니다. 새로운 그림판의 모습에 대한 느낌은 깔끔함과 세련됨입니다. 기능적으로 무엇이 달라졌는지는 조금더 살펴보아야겠지만 기본적인 기능들을 대부분 그대로 계승한 느낌이 강합니다. 즉, 일종의 구버전 그림판의 UI 업데이트 버전으로 부르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주요 업데이트 내용은 주로 UI와 관련된 사항들이 주를 이룹니다. 둥근 모서리, 새롭게 디자인된 버튼 아이콘, 색상 팔레트를 둥글게 변경, 색상 팔레트와 브러시 드롭다운 메뉴에 약간의 새로운 브러시 추가 등의 변경이 있었습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신구 그림판을 비..
입력 도구 모음은 전문적인 타이핑을 필요로 하는 분이 아니라면 사실 바탕화면에 항상 떠있게 설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일반인들이 입력 도구 모음을 사용할 일은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윈도우 11 설치로 OS가 업그레이드된 경우 이 입력 도구 모음이 다시 나타날 수 있는 데 이하에서는 입력 도구 모음을 보이지 않도록 설정하는 방법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거하는 것이 아니고 보이지 않도록 설정하는 내용입니다. 아래의 순서에 따라 작업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1. 윈도우 시작 로고를 우클릭한 다음 설정을 클릭합니다. 2. 윈도우 설정 > 시스템 > 시간 및 언어 > 입력 > 고급 키보드 설정을 클릭합니다. 3. 입력 방법 전환에서 '사용 가능한 경우 바탕화면 입력 도구 모음 사용'의 ..
윈도우 11을 설치하고 시작 버튼을 누르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이 시작 메뉴의 디자인입니다. 윈도우 10에 비해 다소 불편한 구성입니다. 윈도우 10의 경우에 왼쪽에 있는 자주 사용하는 아이콘을 끌어서 오른쪽에 놓으면 바로 고정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윈도우 11의 시작 메뉴는 모든 앱을 눌러야 왼쪽에 있던 모든 메뉴를 볼 수 있고 끌어다 놓을 수도 없습니다. 고정된 목록들은 페이지를 넘겨야 볼 수 있으며, 맞춤이라는 항목이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어 고정할 수 있는 앱 종류도 한정적입니다. 현재로서는 윈도우 설정에서 맞춤 항목에 추가되는 옵션을 제거해서 맞춤 항목이 항상 비어있도록 만들 수는 있지만 맞춤 항목 자체를 제거하여 시작 메뉴의 공간을 확보하는 작업을 할 수 없습니다. 프리뷰 버전에서는..
윈도우 10의 파일 탐색기에서 우측에 미리 보기 창을 만들어 3단 구조 형식으로 사용하셨던 분들은 윈도우 11 설치 이후에 다소 당황스러울 수 있습니다. 윈도우 11의 기본 파일 탐색기 옵션에서는 미리 보기 창이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미지 작업이 많은 분들의 경우에는 파일 탐색기에서의 미리 보기 창은 거의 필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단순히 파일 아이콘 미리 보기만으로는 좀 더 명확한 이미지 정보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미리 보기 창이 중요합니다. 윈도우 11에서 미리 보기 창을 활성화하려면 파일 탐색기 상단 메뉴의 보기 > 표시 > 미리 보기 창을 클릭합니다. 위와 같은 간단한 작업으로 이제부터 원래 사용하던 방식대로 미리 보기 창이 있는 3단 구조의 파일 탐색기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윈도우 11을 설치하고 난 다음 첫 화면으로 가장 눈에 들어오는 것은 아마도 모든 아이콘들이 중앙 정렬된 작업 표시줄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보기에는 깔끔해 보이지만 기능적인 편리함을 위해 많은 아이콘을 고정해 두고 사용하는 분들의 경우에는 윈도우 10에서 처럼 왼쪽 정렬이 편한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윈도우 11 설치 이후에 중앙 정렬된 아이콘들의 모습입니다. 저 역시 이미지 편집과 워드 작업, 동영상 작업 등이 많아 비교적 많은 앱들을 작업 표시줄에 고정해 두고 사용하는 편입니다. 이럴 경우, 위의 이미지에서 보다시피 작업 표시줄에 등록된 아이콘들이 알림 영역과 작업 표시줄이 서로 붙게 되어 오히려 마치 우측 정렬을 한 듯한 이상한 모습이 됩니다. 오히려 더 난잡하다는 느낌을 지울 ..
윈도우 10에서 알림 영역을 모두 보이게 하여 사용하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윈도우 11로 업그레이드 설치를 진행하고 나면 윈도우 기본 상태인 알림 영역 축소 상태가 됩니다. 제 경우에는 뭔가를 클릭해서 들어간 다음 상황을 살펴보는 것을 싫어하고 직관적으로 모두 보이는 것을 좋아하는 편이라 윈도우 10에서도 알림 영역의 모든 아이콘들을 오픈해서 사용 중이었습니다. 윈도우 11의 경우에도 과정은 비슷합니다. 1. 작업 표시줄의 알림 영역을 우클릭해 작업 표시줄 설정을 클릭합니다. 2. 개인 설정에서 작업 표시줄 모서리 오버플로를 클릭합니다. 3. 모서리 오버플로에 있는 항목 중 보이도록 설정하고 싶은 항목에 체크합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접혀있던 알림 영역의 목록을 모두 오픈한 모습입니다. 모든 항목을 체크하더..
윈도우 10에서 업그레이드를 진행한 이후 첫 번째로 발견한 오류 증상은 한글 입력 시 한글 자모 중 ㄴ, ㅇ 등의 특정 키에서만 일어나는 입력 불가 현상과 영문과 한글이 가끔 혼용 입력되는 오류가 나타났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입력기 이외의 모든 입력기를 제거하고, 언어 설정에서 모든 언어를 한국어로 변경하고, 시스템 로캘을 비롯해 점검할 만한 요소들을 모두 점검했음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장치 관리자에서의 키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 또는 키보드 문제 해결사를 통해서도 아무런 문제가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문제 해결사 영역이 기존의 윈도우 10에서는 설정의 업데이트 및 보안 영역에 있었는데, 윈도우 11에서는 설정의 시스템 영역으로 이동하여 찾는 데 약간 시간이 걸렸습니다. 어쨌든, 여러 가지 시도와..
윈도우 11로의 무료 업그레이드가 10월 5일부터 가능해졌습니다. 먼저 자신의 시스템이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시스템인지부터 검사해 보고 불가능으로 나온다면 설정을 수정해야 합니다. 아래의 페이지로 이동한 다음 페이지의 중간쯤에 있는 PC 상태 검사 앱 다운로드를 클릭하고 WindowsPCHealthCheckSetup이라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실행시켜야 합니다. https://www.microsoft.com/ko-kr/windows/windows-11 아마도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이 TPM에 관한 부분일 것으로 보입니다. 이 부분에 관하여는 이전에 포스팅한 내용이 있어 해당 내용으로 대체합니다. 윈도우 11 정식 출시일 및 내 PC 사양 적합도 확인 프로그램 다운로드 사용 중인 윈도우 10 PC의 설정을..
'kmode exception not handled' 오류는 블루스크린 오류의 일종으로 메모리의 손상 또는 불량, 바이오스 설정 오류, 백신 프로그램 또는 특정 외부 프로그램과의 충돌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블루스크린을 무한 반복하게 되는 증상이 있습니다. 윈도우 10, 11 모두 이 오류를 수정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조치를 취해볼 수 있습니다. 1. 시작 복구 설명 운영체제는 윈도우 11 프리뷰 버전이지만 기본적으로 윈도우 10 역시 동일합니다. 키보드의 시프트키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를 사용해 윈도우 시작 버튼을 누른 다음 재시작을 클릭해 줍니다. 윈도우가 재시작되면서 복구 모드로 실행되게 됩니다. 문제 해결을 클릭합니다. 다음 화면에서 고급 옵션을 클릭합니다. 고급 옵션 창에서 시..
윈도우 11 정식판 출시일은 올 10월 5일이라고 마이크로소프트는 발표했습니다. 윈도우 프리뷰 계정에 가입하여 일종의 오픈 베타와 비슷한 형태로 미리 체험하는 인사이더 프리뷰 계정에 의한 윈도우 11은 정식 버전의 윈도우 11은 아닙니다. 정식판의 출시일이 불과 한달도 남지 않은 상황이므로 굳이 무리해서 미리 시험해 볼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9월 13일 현재 시점에서 프리뷰 버전이 아닌 윈도우 10 정식 버전의 최신 빌드는 21H1, OS 빌드는 19043.1202입니다. 아래의 내용은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이와 관련된 주된 내용만 따로 발췌한 내용입니다. Windows 11은 일관된 호환성을 가진 운영체제로 기존 사용자들로부터 친숙한 Windows 10 운영체제 기반 위에 구축되었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