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도 그렇고 미래에도 전문기술자가 아닌 일반유저들이 과연 도스명령어들을 쓸일이 생길지 의문스러우나, 도스명령어들은 왠지 모를 아쉬움과 친근함 같은 이상한 느낌이 있다. 각설하고 윈도우즈10에서 아주 오래전에 쓰였던 MS-DOS명령어들중 많이 쓰였던것들 위주로 몇개만 공부해 보자. 도스 명령어들은 밑줄긋고 암기하는식보다 실제로 검정도스화면에서 실습을 해보는것이 가장 이해와 기억하기 좋았던것 같다. 윈도우즈 실행창을 열고 CMD를 입력한후 엔터를 쳐보자. 그럼 도스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컨맨드 프롬프트창이 뜨는데 키보드로 help라고 치면 사용가능한 도스명령어들이 쭉 표시됩니다. 이 콘솔창의 내용들을 일단 텍스트문서로 보관해놓고 싶은 분들은 콘솔창 상단 막대바에서 마우스 오른쪽클릭한후 편집으로 간뒤 전체..
pdf파일을 봐야하는데 암호가 걸려있고 암호를 알수 없어서 열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스트 소프트의 알pdf는 pdf의 편집 및 암호설정을 가능하게 해주는 무료 국산 프로그램입니다. https://www.altools.co.kr/download/alpdf.aspx/aldrive.aspx 1. PDF파일에 암호 설정하기 알PDF를 설치한뒤 실행시키고 아무 PDF파일이나 로딩하는데 만약 PDF파일이 PC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아무 그림파일이나 불러 들인뒤 PDF파일로 변환 시키면 됩니다. 이제 PDF파일을 알PDF로 열었다고 가정하고 암호를 설정하는것을 설명합니다. 알PDF 상단 메뉴바에서 보안탭을 클릭한다음 암호설정 이라고 써진 아이콘을 클릭해서 암호를 설정하면 모든 작업이 끝납니다. 자 이제 암호설정..
jpg그림파일 포맷을 pdf아크로뱃문서로 만드는 가벼운 툴과 사용법등을 알아보아요. 일단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합니다. 'free jpg to pdf'라는 프로그램입니다. 링크주소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oftware.naver.com/software/summary.nhn?softwareId=MFS_104545 위의 링크는 네이버 파일자료실이니 바이러스등의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언어는 러시아어와 영어 두개밖에 지원을 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선택해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설치가 끝나고 프로그램을 로드해보시면 단순한 인터페이스 입니다. add file에서 pdf문서로 바꿀 그림 파일을 선택합니다. output folder에서 출력물이 나올 폴더를 지정해줍니다. open folder ..
웹 서버에 사이트맵(site map) 이 있는 형식화된 XML 파일을 배치하면 Google과 같은 검색 엔진 크롤러가 현재 어떤 페이지와 최근에 변경된 페이지인지 파악하고 이에 따라 사이트를 크롤링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 맵은 웹 사이트를 구성하여 각 섹션에서 URL과 데이터를 식별하는 방법입니다. 이전에는 사이트 맵이 주로 웹 사이트 사용자를 대상으로했습니다. 그러나 Google의 XML 형식은 검색 엔진 용으로 설계되어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찾을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기 시작하면서 어쩌면 가장 먼저 해야할일이 사이트맵을 생성시켜야 하는 일일 듯합니다. 물론 최초에는 업로드된 포스팅의 개수가 적은 편이어서 사실 사이트 맵을 최초에 올린 뒤에는 빠른 시일 내에 다시 한번 업데이트..
티스토리 블로그를 zum검색엔진에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zum검색엔진은 알씨,알집,알약 등을 개발한 이스트소프트사와 제휴된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형식의 포털형 검색엔진입니다. 많은 분들이 구글,다음,네이버 까지 또는 더한다면 bing 정도 까지만 등록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조금은 생소할 수 있는 zum검색엔진에 등록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먼저 zum의 고객센터 페이지의 사이트 검색등록 페이지로 가야 합니다. 링크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help.zum.com/submit/register 이 주소에서 아래 그림이하의 설명대로 따라하면서 등록하시면 됩니다. 만약 위의 링크주소가 에러가 발생한다면 진행할 수 있는 최초의 페이지 주소를 아래에 링크합니다. 줌홈페이지로 갈..
제일 먼저 할일은 마이크로소프트사 빙 검색등록페이지로 가서 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를 입력 시키는 일입니다. www.bing.com/toolbox/webmaster/ 위의 링크로 이동한다음 홈페이지 URL입력 이라고 써진 칸에 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를 입력합니다. 그다음 바로 아래 위치하는 그림에 표시된 문자를 텍스트 상자에 입력하라는 표시창의 그림속의 문자를 입력해주고 난뒤 하단에 위치한 제출 버튼을 누릅니다. 그렇게 하면 윈도우즈 계정으로 연결할지 구글 계정으로 연결할지 묻는데 가능한한 윈도우즈 계정으로 연결하길 권합니다.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요청이 제출되었습니다 라는 확인창이 뜨는데 지금등록 이라는 버튼을 눌러 줍니다. 이제 사이트맵을 추가해야 하는데 기존의 만들어 두신 사이트맵이 있다면..
우리는 인터넷 서핑 도중에 너무나도 소장하고 싶은 사진, 그림을 만나거나 또는 프로그램 코딩 작업 또는 소스코드 편집 작업 중 너무나 필요한 소스코드 문장을 찾아낼 경우가 있습니다. 이제 사진을 다운로드해서 소장하거나, 소스코드를 복사해서 작업 중인 코딩을 완성해야 하는데 막상 우클릭을 해보면 페이지에 락이 걸려 도무지 반응을 안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참으로 실망이 크죠. 대안으로 화면 캡처로 다소 화질이 떨어지는 형태로 보관하던가 메모장을 꺼내놓고 복잡한 소스코드를 일일이 타이핑을 해야 합니다. 참으로 괴로운 순간입니다. 그럼 본론으로 가서 몇가지의 대안을 살펴보겠습니다. 1.spell 우클릭금지 해제의 목적으로 사용된 방법 중 가장 역사가 오래된 프로그램이며 유명한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그..
관련링크 - 윈도우 로그인 비밀번호창 제거후 로그인시 팝업 핀번호창 제거하기 - http://itfix.tistory.com/1 지난 시간에 윈도우10 설치후 개인 가정사용자들에게 처음으로 불편함을 선물해주는 윈도우즈10 핀번호 제거하기에 대해 포스팅했었습니다. 그런데 그때에도 언급했지만 윈도우즈 계정 비밀번호는 필요하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윈도우즈계정 암호는 생성시켜두어야 하는 상황입니다. 핀번호 삭제하기를 무사하게 끝마쳤으나 또다른 걸림돌 윈도우즈 암호를 물어보는 팝업창이 로그인시에 뜰 수 있습니다. 아무런 방해받지 않고 가정용 윈도우즈가 부팅후 곧바로 바탕화면까지 진입하기 위해서는 윈도우즈계정 암호 팝업창과 핀번호 팝업창 이 두가지를 뜨지않게 해결해야 합니다. 핀번호 팝업창의 삭제에 대해서는 앞에서 ..
누구나 나에게는 절대로 일어나지 않을꺼라고 확신하지만 언제가는 일어나게 되는 일이 있습니다. 바로 변기 막힘입니다. 분해가 가능한 이물질로 막힌 경우는 뚤어뻥같은 약품을 사용하던가 끓는 물을 붓는 등의 다양한 민간요법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분해되지 않는 기다란 물체가 아차하는 실수로 물에 쓸려 내려가 버리는 경우가 언젠가는 생기게 마련입니다. 변기는 역류하는 악취나 벌레등을 방지하기 위해 s자 트랩에 항상 물이 차있는 상태로 되어 있으며 쓸려내려가게 되면 대부분은 시야에서 사라진뒤 멀지않은 트랩의 굴곡진부분에 걸쳐있게 됩니다. 그래서 막히게 되는 부분은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으로부터 5-15센티정도 들어간 굴곡진 부위가 대부분이게 됩니다. 볼펜이나 칫솔이 떨어져 물에 쓸려내려가 막혀버렸을때 분해되는 물질..
태그(Tag)란 자신이 다루고있는 컨텐츠물을 다른 사용자들의 검색에 쉽게 노출되도록하기 위해 작성하는 연관 검색어를 말합니다. 작성자 본인의 태그는 당연히 모두 볼수 있고 편집할수 있겠으나, 다른 사람의 것은 일반적으로 노출되지 않는 경우도 많고 편집은 불가능합니다. 그런데 보통 다른 사람의 어떤 컨텐츠 물이 유난히 많은 조회수를 가지고 있다면 어떤 태그들을 적용시켜놨을까 궁금해 지기도 합니다. 다행이 태그가 공개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냥 보면 되지만 감춰져 있는 경우도 상당히 많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유튜브 동영상입니다. 유튜브 동영상의 경우에는 해당 동영상의 크리에이터만 태그를 작성 및 편집할 수 있으며 일반 시청자들이 태그를 알 수 없게 기본설정되어 있습니다. 특히나 유튜브의 경우에는 조회수 경쟁..
윈도우10 로그인비밀번호 팝업창 삭제하기 윈도우 10버전을 설치하고 처음 로그인할 경우 귀찮은 화면이 뜨게 됩니다. 핀번호 입력창이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기존 하위버전 윈도우 설치시 이용되던 윈도우 계정 로그인 비밀번호 입력 또는 삭제는 이미 많이 알려져 있는 경우라 여기서는 다루지 않겠습니다. 물론 보안강화라는 측면에서 보면 기존 윈도우계정 비밀번호 외에 핀번호라든지 얼굴인식이라든지 또다른 보안강화 요소를 추가한것은 보안성강화에 유리해 진것은 틀림없는 사실입니다. 그러나 개인들이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쓰는경우에는 대부분의 유저들은 로그인과정없이 부팅후 바로 바탕화면으로 진입하길 원하게 됩니다. 그래서 그러한 윈도우즈10 사용자들을 위해서 귀찮은 로그인 인증 핀번호를 제거하는 방법을 아래에서 설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