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블로그 운영 중 사이트맵을 등록하려고 하면 '사이트맵을 읽을 수 있지만 오류가 있습니다. 사이트맵이 HTML입니다.'라는 팝업창이 뜨면서 사이트맵이 등록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오류라기보다는 사이트맵 제출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사이트맵은 보통 제출 가능한 확장자가 정해져 있습니다. 구글에서 지원하는 확장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글은 사이트맵의 확장자로 XML, RSS, mRSS, Atom 1.0, 텍스트(txt) 등을 지원하는 데, 위의 오류가 발생한 사례는 일반 웹 문서 확장자 형식인 HTML 또는 HTM으로 제출하였기 때문에 규정에 맞지 않아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사이트맵을 구글에 등록하고자 할 경우에 먼저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로..
"‘itemListElement’ 입력란이 누락되었습니다." 이 문제에 관해 구글에서 검색해 보면 1~3 페이지의 내용이 거의 동일하게 그 원인으로 특정 카테고리 내에 글이 하나도 없어서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그런데 제 경우는 그런 경우와는 달랐습니다. 티스토리 사용자들이 이 오류를 겪는 경우는 크게 세가지였습니다. 첫째, 문제가 된 카테고리는 빈 카테고리였다. 둘째, 스킨 변경 후 소유권 재인증과정을 하지않아 발생했다. 셋째, 스킨변경후 소유권 재인증과정으로 인증을 했음에도 초기 유효성 검사를 통과하지 못했다. 제 경우에는 세 개의 카테고리에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1. 빈 카테고리 문제 ‘itemListElement’ 오류의 원인으로 가장 많이 지목되는 부분이 빈 카테고리였고, 지목된 해당 카테고리를..
구글 블로그는 외관이 많이 이국적인 모습이라 직관적으로 원하는 기능이 어디에 있을지 추측하여 찾아내기가 약간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구글에 블로그를 개설한 다음 검색엔진들에 등록하는 일과 사이트맵 업로드 등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순서대로 그러한 방법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구글 블로그 검색엔진 등록하기 구글 블로그 설정 페이지에서 테마 메뉴를 누릅니다. 이때 우측 상단의 맞춤설정 옆의 드롭다운 화살표를 클릭한 다음 HTML 편집을 클릭합니다. 이 이후의 내용은 사실상 티스토리의 경우와 대동소이하므로 크게 어려움이 없습니다. 즉, 네이버 웹마스터 웹 페이지에서 사이트 등록을 클릭하면 가장 먼저 하는 일이 소유권 확인인데 이 곳에서 자신의 블로그에 붙여..
티스토리에서는 2020년 4월 27일부터 자체 플러그인을 통하여 사이트맵이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업데이트하였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의 사이트맵 파일은 'https://블로그 주소/sitemap.xml'을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또한, 티스토리 기본 사이트맵에는 다음과 같은 페이지의 주소(URL)가 포함됩니다. - 블로그 홈 - 공개 상태인 카테고리 글 목록 - 공개 상태인 일반 글 - 공개 상태인 공지 글 - 공개 상태인 페이지 - 태그 모음 페이지 - (방명록 등록 허용 시) 방명록 이때 업데이트 공개시에는 등록 페이지 개수가 1,000개로 제한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5월 6일의 업데이트를 통하여 이를 3,000개까지 늘렸습니다. 아직까지는 하나의 구글계정에는 한 개의 블로그에만 구글 사이트맵 플..
네이버에 티스토리 블로그를 검색등록하기 위해서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페이지로 가야합니다. 그런데 네이버 웹마도구 페이지에는 사이트 간단체크 기능이나 검색요청 등의 서비스도 하고 있으니 즐겨찿기 해두고 가끔 와서 블로그에 에러는 없는 지 한번씩 체크해봅시다. 사이트 간단체크에 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를 넣고 확인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목록이 뜹니다.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서 아까 최초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페이지에 들어가간뒤 연동할 사이트주소에 자신의 블로그 주소를 넣고 연동할 사이트 추가 버튼을 눌러줍니다. 아래 그림처럼 가운데의 HTML 태그를 선택한뒤 소스태그를 복사하는데 meta ~ 부터 / 까지 괄호는 빼고 복사해줍니다. 여기까지 하신다음 다시 티스토리로 넘어가야 합니다. 네이버 소유확인페이지는 닫..
티스토리 블로그 애드센스 승인이 떨어지면 가장 먼저 하게 되는 일이 구글,네이버,빙 등에 검색등록을 요청하는 일이다. 다음은 등록하지 않아도 티스토리의 경우 자동으로 등록된다고 합니다. 제일 먼저 구글등록에 대해 알아보아요. 구글등록을 하기 위해서는 구글 웹마스터도구 홈페이지로 가야합니다. https://www.google.com/webmasters/#?modal_active=none 우측하단의 search console 이라고 써있는 버튼을 누르면 구글로그인이 안되어 있을경우 구글로 로그인하라는 창이 뜹니다. 로그인한뒤 서치콘솔 페이지(https://www.google.com/webmasters/tools/home?hl=ko)로 로그인 우측상단의 속성추가 버튼을 누르면 자신의 홈페이지 주소를 입력하는 ..
웹 서버에 사이트맵(site map) 이 있는 형식화된 XML 파일을 배치하면 Google과 같은 검색 엔진 크롤러가 현재 어떤 페이지와 최근에 변경된 페이지인지 파악하고 이에 따라 사이트를 크롤링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 맵은 웹 사이트를 구성하여 각 섹션에서 URL과 데이터를 식별하는 방법입니다. 이전에는 사이트 맵이 주로 웹 사이트 사용자를 대상으로했습니다. 그러나 Google의 XML 형식은 검색 엔진 용으로 설계되어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찾을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기 시작하면서 어쩌면 가장 먼저 해야할일이 사이트맵을 생성시켜야 하는 일일 듯합니다. 물론 최초에는 업로드된 포스팅의 개수가 적은 편이어서 사실 사이트 맵을 최초에 올린 뒤에는 빠른 시일 내에 다시 한번 업데이트..
티스토리 블로그를 zum검색엔진에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zum검색엔진은 알씨,알집,알약 등을 개발한 이스트소프트사와 제휴된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형식의 포털형 검색엔진입니다. 많은 분들이 구글,다음,네이버 까지 또는 더한다면 bing 정도 까지만 등록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조금은 생소할 수 있는 zum검색엔진에 등록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먼저 zum의 고객센터 페이지의 사이트 검색등록 페이지로 가야 합니다. 링크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help.zum.com/submit/register 이 주소에서 아래 그림이하의 설명대로 따라하면서 등록하시면 됩니다. 만약 위의 링크주소가 에러가 발생한다면 진행할 수 있는 최초의 페이지 주소를 아래에 링크합니다. 줌홈페이지로 갈..
제일 먼저 할일은 마이크로소프트사 빙 검색등록페이지로 가서 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를 입력 시키는 일입니다. www.bing.com/toolbox/webmaster/ 위의 링크로 이동한다음 홈페이지 URL입력 이라고 써진 칸에 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를 입력합니다. 그다음 바로 아래 위치하는 그림에 표시된 문자를 텍스트 상자에 입력하라는 표시창의 그림속의 문자를 입력해주고 난뒤 하단에 위치한 제출 버튼을 누릅니다. 그렇게 하면 윈도우즈 계정으로 연결할지 구글 계정으로 연결할지 묻는데 가능한한 윈도우즈 계정으로 연결하길 권합니다.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요청이 제출되었습니다 라는 확인창이 뜨는데 지금등록 이라는 버튼을 눌러 줍니다. 이제 사이트맵을 추가해야 하는데 기존의 만들어 두신 사이트맵이 있다면..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