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스톤테일m에서 필드 보스들의 위치는 어느 정도 알려져 있고 정보도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고대 동굴이나 버섯 동굴, 벌집 동굴, 신전, 성전 등에 있는 클랜칩 보스의 위치는 정보를 찾기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레벨 제한으로 들어갈 수 없는 일부 던전을 제외하고 들어갈 수 있는 던전들은 보스 위치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아래의 표는 9월 7일 업데이트에서 운영진이 발표했던 클랜칩 보스별 리젠 주기표 이미지입니다. 클랜칩이나 보스 몬스터를 공략하려 하시는 분들은 리젠 주기 시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점검 이후 모두 동일하게 출발하였다 할지라도 각 채널별로 사망한 시점이 다르면 리젠시간이 채널별로 각각 달라지게 되므로 자신이 제거한 시간이 있다면 가능하면 메모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1. 고대..
디아블로 이모탈에서 퀘스트를 완료하거나 캐릭터를 성장시킬 경우의 보상으로 칼자루 주화라는 것을 지급합니다. 그런데 이 주화를 사용할 줄 몰라 창고에 썩히고 있는 분들도 계실 것 같아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칼자루 주화는 아이템을 업그레이드하는 데 들어가는 일반 보석이나 전설 보석, 일반 문장, 전설 문장, 재활용 재료, 마력이 깃든 가루 등을 구입할 수 있는 매우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재화입니다. 게임 초반에 자신이 획득한 재료들을 적절히 사용하면 조금 더 게임을 쉽게 풀어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이미지에서 보다시피 전설 보석인 카센의 격려라든가 전설 문장 등까지도 칼자루 주화로 구입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조금 불친절한 디아블로 이모탈은 해당 상인의 위치를 홍보하지 않습니다. 본인이..
바탕 화면, 내 문서, 동영상, 사진, 음악 등의 특수 폴더들은 마우스 우클릭을 한 다음 속성을 선택하고 위치 탭을 클릭하면 해당 폴더의 고유 위치가 보입니다. 이 고유 위치들은 해당 주소 바로 아래의 가운데에 있는 이동 버튼을 눌러 원하는 위치의 폴더를 지정해 기본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바탕 화면의 위치를 기본 위치에서 D 드라이브로 지정해 주었을 경우에 파일 이동에 관하여 예를 눌러 주게 되면 기존의 바탕 화면에 있던 아이콘들을 그대로 D 드라이브로 옮겨와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시 바탕 화면의 원래 기본 위치를 사용하고 싶을 경우에는 바탕 화면을 우클릭한 다음 속성에서 위치 탭으로 간 다음 기본값 복원을 선택하면 원래의 바탕 화면 고유 위치 기본값으로 경로를 수정하게 됩니다. ..
윈도우 11이 출시하면서 전통적으로 위치해 있던 그림판 실행 파일 위치가 변경되었습니다. 다만, 실행 파일의 명칭인 mspaint.exe라는 이름은 동일합니다. 아래에서는 두 OS 간의 그림판 파일 위치를 비교하고 각각 바탕화면 바로가기 아이콘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작업을 위해서는 시스템 폴더를 볼 수 있어야 하므로 탐색기의 폴더 옵션에서 가능하면 숨김 파일이나 확장자를 표시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윈도우 10의 그림판 윈도우 10에서 그림판의 지정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 C:\Windows\System32\mspaint.exe 위의 경로로 들어간 다음 해당 파일을 마우스 우클릭한 다음 바로 가기 만들기를 클릭하면 바탕 화면에 바로 가기를 만들겠냐는 창이 뜨게 됩니다. 예를 ..
마이크로소프트의 과거 주력 브라우저였던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실행 위치를 찾는 포스팅입니다. 현재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구글의 크롬, 마이크로소프트의 엣지, 모질라의 파이어폭스 브라우저를 사용하므로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잊혀가는 웹브라우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공공기관들에서는 이미 익스플로러를 기준으로 만들어 둔 플랫폼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예산이 집행되는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아직도 익스플로러에서만 작동되는 사이트들이 남아 있습니다. 문제는 최신 버전의 윈도우10에서는 컴퓨터에 대해 이해가 부족할 경우 엣지나 크롬이 아닌 익스플로러의 실행 위치를 찾는 것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간단한 문제이지만 소수의 어려움을 겪을지도 모를 분들을 위해 이 글을 포스팅합니다. 아..
윈도우 로고키와 프린트스크린키를 누르면 스크린샷 이미지는 자동으로 지정된 폴더에 저장됩니다. 겉으로는 아무런 변화가 없으나 저장되는 경로에 있는 폴더에는 스크린샷.png라는 이름으로 자동 저장되게 됩니다. 이후에는 숫자만 증가하는 형식입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메카니즘은 윈도우 파일 탐색기의 좌측 카테고리에 있는 다운로드, 동영상, 문서, 링크, 음악, 연락처 등의 모든 대표 경로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즉 다운로드 폴더를 변경하려면 아래에 설명한 메카니즘처럼 우클릭후 속성의 위치탭에서 작업해야 합니다. 1. 스크린샷 자동저장 기본 경로 윈도우의 기본 스크린샷 자동 저장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C:\Users\사용자계정\Pictures\Screenshots 위의 경로는 한글 윈도우에서의 경로로 풀어쓰면..
윈도우즈 작업 표시줄의 두께를 변경하여 많은 바로 가기를 고정하여 두줄 이상의 바로 가기 아이콘이 있는 작업 표시줄을 만든다거나, 작업 표시줄의 위치를 변경하여 화면의 위나 왼쪽 또는 오른쪽에 작업 표시줄이 오게 만든다거나 하는 작업 표시줄의 사용자화 설정 변경이 가능합니다. 1. 작업 표시줄에 두줄의 바로 가기 아이콘 넣기 작업 표시줄에 넣고 싶은 바로 가기 아이콘이 점점 많아져서 두줄로 넣고 싶은 경우에는 어찌해야 할까요? 작업표시줄에 넣는 고정된 바로 가기 아이콘이 우측 끝의 알림 영역에 가까워져 가면 많은 사용자들은 이제 자리가 없으니 기존의 아이콘중 덜 중요한 바로가기를 삭제하고 새로운 것을 고정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쓸데없는 걱정입니다. 윈도우는 생각보다 똑똑해서 가능하면 최대한 작업표..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