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 시스템에 VM웨어를 설치할 경우 기본 CMOS 옵션에서는 설치 후 첫 구동에서 오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SVM 가상모드 옵션이 기본 옵션으로 Disable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 옵션을 Enable로 설정해 주어야 VM웨어의 구동이 가능해지게 됩니다. 이하에서는 AMD 라이젠 CPU 시스템의 CMOS에서 SVM모드를 활성화 시키는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PC가 시작될때 Del키를 연타하여 CMOS로 진입합니다.2. 메인 화면에서 MIT 하위 메뉴 중 Advanced 주파수 설정을 클릭합니다. 3. 다음으로 Advanced CPU Settings를 클릭합니다. 4. 다음으로 SVM Mode를 클릭합니다. 5. SVM Mode를 사용 안 함에서 사용으로 변경해 준 다음 C..
레이븐 2에서 게임을 시작한 지 초반이 지나면 보통 녹템으로 도배되어 있는 자신의 캐릭터에게 파란색의 희귀 무기 같은 아이템을 착용시켜야 할 시기가 옵니다. 가장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계승자 시리즈는 얼핏 보면 고급 재료템이 30개씩 들어가기 때문에 쉽지 않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일 가방속에 계승자의 증표라는 아이템이 존재한다면 이야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승자의 증표 아이템이 존재한다면 이것 한 개는 모든 재료템을 모은 것과 동일한 효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아래의 이미지에서처럼 제 벵가드 캐릭터는 초록템과 하얀색 아이템으로 도배되어 있어 무기만이라도 파란색으로 바꿔줘야 할 것 같습니다. 제작에 있는 무기를 누르고 가장 쉽게 제작할 수 있다는 계승자의 무기를 클릭합니다.필요..
위의 제목과 같은 현상은 주로 윈도우 설치 이후에 시스템 최적화 옵션 중 성능 최적화 옵션을 선택한 유저들의 시스템에서 주로 일어나게 됩니다. 웹브라우저의 폰트뿐만 아니라 윈도우 시스템 자체의 폰트까지도 균일한 색상이 아닌 두터움과 얇음이 고르지 않고 글씨가 뭉개져 보이게 됩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임의의 웹페이지에서 캡처한 네이버 블로그 글씨가 뭉개져 보이는 모습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윈도우 시작 버튼을 우클릭한 다음 실행을 클릭합니다.실행 명령 창에 sysdm.cpl을 입력하고 확인을 눌러 줍니다. 다음으로 시스템 속성 창이 열리면 고급 탭을 선택한 다음 최적 성능으로 조정을 선택했던 사용자들의 경우 가장 아래에 있는 옵션인 '화면 글꼴의 가장자리 다듬기' 옵션이 선택 해제되어 ..
윈도우 11의 시작 버튼을 우클릭 후 실행을 누른 다음 실행 창에 netplwiz라고 입력합니다.아래와 같은 윈도우 메인 계정이 표시된 사용자 계정 창이 열리게 됩니다. 위의 이미지에서와 같이 상단에 따로 체크 표시를 해제할 옵션이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여 옵션이 생성되도록 선작업을 해주어야 합니다.윈도우 설정 > 계정 > 로그인 옵션 페이지에서 추가 설정에 있는 '보안을 강화하려면 이 장치의 Microsoft 계정에 Windows Hello 로그인만 허용함(권장 사항)' 옵션을 끔으로 설정해 줍니다. 이제 PC를 재시작한 다음 다시 실행 창에 netplwiz를 입력해 보면 이번에는 상단에 체크 표시할 수 있는 옵션이 생성되어 있는 것이 보입니다. 이 체크 표시를 해제하면 하단의 적..
윈도우 10과 윈도우 11 모두 윈도우 설치 후의 시스템 트레이 기본 옵션은 숨겨진 아이콘으로 표시되도록 기본 설정되어 있습니다. 아래의 이미지처럼 위로 향한 화살표 부분에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어떤 아이콘들이 숨겨져 있는지 보이며 여기서 사용하고자 하는 아이콘을 한번 더 클릭해야 실행이 되는 형태입니다. 그런데 윈도우 10에서 존재하던 옵션이 윈도우 11에서는 숨겨져 있으므로 명령을 이용해 제어판에 숨겨져 있는 이 옵션을 보이도록 먼저 입력해야 합니다.윈도우 11의 시작 버튼을 우클릭한 후 실행을 클릭해 명령창을 실행합니다.명령창에 아래와 같은 명령줄을 복사하여 붙여넣기한 다음 확인버튼을 눌러 명령을 실행합니다. shell:::{05d7b0f4-2121-4eff-bf6b-ed3f69b894d9} ..
넷마블 런처는 최근 많이 사용되는 일종의 전용 앱플레이어 개념으로 모바일 게임의 PC 플레이를 원하시는 유저분들을 위하여 기본 조작 플레이를 넷마블 게임에 한하여 PC에서 플레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첫 구동 화면은 일종의 앱 플레이어와 넷마블 자체 게임 앱들이 배열되어 있는 특이한 앱 플레이어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만, 앱의 배열이 좌측에 수직 바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점이 바탕화면에 배열되어 있는 형식인 다른 앱 플레이어들과는 조금 다릅니다. 아마도 자체 게임 앱의 수가 한정할 수 있을 정도로 작기 때문에 이런 배열 방식을 선택한 것 같습니다. 이제 본론으로 만일 여러개가 설치된 넷마블 런처 내의 게임 앱 중 하나를 삭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다소 생소한 방식으로 배열..
윈도우에서 기본적으로 앱을 삭제하는 방법으로는 제어판의 프로그램 제거에서 삭제하는 방법과 윈도우 설정의 앱 부분에서 삭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런데 어떤 이유인지는 모르겠지만 윈도우 설정의 앱 부분에서 이전에는 특정 앱을 선택하면 보였던 앱의 우측으로 보여야 할 삭제 버튼 또는 삭제 메뉴 진입 아이콘이 보이지 않는 상황이 생겼습니다. 생각보다 제어판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윈도우 설정에서는 보이는 삭제 가능한 앱들이 꽤 되는 것으로 보이는 설정에서 삭제 중 부딪힐 수 있는 문제이므로 알아두는 것이 좋을 것 같아 포스팅으로 남깁니다. 제어판에서 삭제하면 되지 않겠느냐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제가 삭제하고자 했던 아이튠즈나 아이클라우드 윈도우용 프로그램은 제어판의 앱목록에서는 보이지 않고 윈도우 설정의 앱 부분..
모바일 앱 플레이어 중 일부는 보안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앱 플레이어를 비밀 번호 등을 통해 잠금 설정하도록 강요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할 경우에는 매번 앱 플레이어를 구동할 때마다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잠금을 해제하고 진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잠금 설정을 요구했던 앱을 삭제한 경우 이후에도 그 설정은 그대로 계속 남아 있게 됩니다. 따라서, 이럴 경우에는 앱 플레이어 사용자가 직접 비밀번호 기능을 해제하여야 합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제가 사용중인 LD 플레이어를 구동하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잠금을 해제하도록 요구하고 있는 이미지입니다. 비밀번호 기능을 해제하기 위해 일단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앱 플레이어를 열어야 합니다. 이 기능은 안드로이드 보안 설정에 해당하는 기능이므로 앱 플레이어 ..
하나의 물리적 디스크에 이미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거나 보존하고 싶은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데이터를 보존한 상태에서 새로운 파티션을 만들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윈도우 10 또는 윈도우 11 운영체제에서 이와 같은 작업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러한 작업은 시스템 작업에 속하므로 혹시 모를 사태를 대비하기 위해 가능한 중요한 데이터는 백업을 해 둔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두 개의 물리적 디스크가 달려 있는 현재 사용 중인 제 PC에서 진행한 테스트 작업입니다. 첫 번째 디스크에는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고, 데이터 저장용으로 사용 중인 두 번째 디스크에서 테스트 작업을 진행해 보았습니다. 윈도우 시작 버튼을 마우스 우클릭한 다음 컴퓨터 관리를 클릭한 다음 디스크 관리..
Win+Shift+S 키는 정적 이미지 캡처의 단축키로 보통 영역을 지정하여 캡처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합니다. 그 외에 단순한 전체 화면 캡처와 같은 고정 이미지 캡처의 경우에는 PrtScr(화면인쇄) 단축키를 사용합니다. 아래에서는 Win+Shift+S 단축키 사용 시 잠시 출력되는 팝업 알림 화면이 뜨지 않거나 너무 빨리 사라지는 경우의 설정과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모든 이미지를 살펴보고 특정 클립보드 이미지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캡처 알림이 뜨지 않는 경우 보통은 윈도우 기본 알림 지속 시간인 5초가 적용되어 화면 캡처를 시행한 경우 약 5초 동안 팝업 알림이 나타났다 사라지게 됩니다. 이 알림 자체가 뜨지 않는 경우에는 알림 설정이 해제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
윈도우 업데이트로 인해 윈도우 11에서 시작 메뉴가 중앙 정렬로 되돌아간 경우에 이를 다시 좌측 화면에 팝업 및 출력되도록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만일, 이전 포스팅에서 추천해 드린 ExplorerPatcher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면 윈도우 11을 설치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윈도우 10 형식의 시작 버튼으로 클릭 시 항상 좌측에서 팝업 되어 왔을 것입니다. 윈도우 11에서 윈도우 10 형식의 작업 표시줄 만들기 - ExplorerPatcher 그런데 윈도우 11 가장 최근의 자동 업데이트에서 윈도우 시작 버튼 팝업 메뉴가 다시 중앙으로 정렬되는 일이 발생하였습니다. 이 기능을 싫어하는 분들은 시작버튼을 클릭했을 때 중앙에서 메뉴가 팝업 되면 매우 신경 쓰일 것으로 압니다. ExplorerPatcher의 경..
도시가스 밸브 쪽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차단되는 기능이 있는 milen 제조 자동 차단기 오류 발생 시의 대처 방법입니다. milen이라고 적혀 있는 자동 차단기의 정식 모델명은 MG-06BT이며 제조원은 (주)미렌입니다. 사실 오류라기보단 건전지가 거의 방전되면 자동 차단기에서 건전지를 교체하라는 무한 알림음이 울리며 작동이 느려지게 됩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이 당시의 이미지 모습이며 문제발생 CL5라고 표시가 뜨게 됩니다. 설치 당시에 설명을 제대로 듣지 않아 이럴 경우 어떻게 건전지를 교체하는지 몰랐는데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가장 아래쪽의 작은 클립 모양의 훅을 살며시 누르면서 그대로 훅을 아래로 당기면 건전지가 들어 있는 아래 판이 서랍처럼 딸려 내려오는 구조입니다. 그런데 이걸 누르는 ..
전체 화면 모드의 게임에서 보통은 Alt+Tab 키를 누르면 작업 표시줄에 접히고 웹 브라우저 같은 다른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습니다. 그런데 특정한 게임 등의 경우에는 전체 화면 모드에서 실제로 열려 있는 다른 프로그램의 창이 없다면 Alt+Tab 키를 사용하여 새로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아래의 이미지는 미리 실행시켜 둔 다른 응용 프로그램이 없는 상태에서 전체 화면으로 실행 중인 콜오브카오스 어셈블 게임 실행 중 Alt+Tab 키를 누른 화면입니다. Alt+Tab을 눌렀을때 현재 실행 중인 창만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어 결국은 접을 수 없는 상태가 됩니다. 물론 게임 실행 전에 미리 사용할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둔다면 이 경우에는 Alt+Tab으로..
파일의 확장자나 연결 프로그램 개념을 완전하게 이해하지 못할 경우에는 매일 열리던 파일이 클릭하면 이상한 프로그램이 뜨고 열리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실수로 잘 못된 연결 프로그램이 해당 확장자에 설정된 경우에 이를 이해하지 못하면 당황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을 이해하기 위해 중요한 두 가지는 확장자의 이해와 연결 프로그램의 이해 두 가지입니다. 1. 확장자의 이해 윈도우의 모든 파일은 파일명의 뒤쪽에 오는 마침표 이하 3자리 또는 그 이상의 영어 철자를 확장자라고 부르며 이는 파일의 성격을 미리 알 수 있게 해 줍니다. 예를 들면 .hwp라는 확장자가 붙은 파일은 한글 워드로 작성한 파일이며, .jpg라는 확장자가 붙은 파일은 압축된 이미지 파일이며, .txt라는 확장자가 붙은 파일은 메모장으로 작..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