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그림판 사용 빈도가 낮아서 미처 알아채지 못했는데 그림판의 진화 속도가 무섭습니다.이전 포스팅에서 레이어 기능이나 브러시 크기 간편 조절 기능, 윈도우 24H2 버전에 도입될 그림판 이미지 자동생성 도구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레이어와 두께 자동조절 기능으로 강력해진 그림판 살펴보기 그때는 미처 알지 못해 언급하지 못했던 자동 이미지 배경 제거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림판 상단 메뉴에 보면 새롭게 추가된 또 하나의 메뉴로 배경 제거 메뉴 아이콘이 보입니다. 이 기능 역시 예제를 통해 빠르게 이해해 보도록 할까 합니다. 1. 배경을 교체할 이미지 불러오기피사의 사탑 배경을 제거하고 밝은 분위기로 바꿔 보려고 합니다.아래에 첨부된 피사의 사탑 샘플 이미지를 그림판에서 불러옵니다. ..
그동안 픽픽이나 포토스케이프를 주로 사용해서 한동안 잊고 지내던 그림판이 누적된 업데이트를 통해 굉장히 강력한 기능을 가지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 생각 없이 그림판을 열었다가 추가된 레이어 기능과 브러시 두께 자동 조절 기능을 보고 입이 벌어졌습니다. 그림판의 최신 버전은 코파일럿 AI와 그림판의 결합인 코크리에이터를 추가한다는데 이제 포토샵은 뭐 먹고사나 하는 생각도 들고요. 현재 제가 사용 중인 그림판 버전은 아직은 코크리에이터와 결합되지 않은 그림판 11.2408.30.0 버전입니다. 간략하게 현재 버전의 레이어 기능과 브러시 두께 조절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레이어 기능그림판 최신 버전에서는 우측 상단에 레이어 버튼이 추가되었습니다. 눌러보면 아시겠지만 기본적으로 ..
윈도우 재설치 이후로 사용 중인 윈도우 11에서는 예전에 제가 유용하게 사용하던 보내기 메뉴에 추가했던 메모장, 그림판 기타 그래픽 프로그램 등이 사라진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에 우클릭 보내기 메뉴에 원하는 프로그램을 추가하는 방법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우클릭 보내기에 새로운 메뉴를 추가하는 것은 복잡하게 레지스트리를 수정하거나 하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의외로 간단합니다. 1. 우클릭 보내기 메뉴에 그림판 추가하기윈도우 탐색기를 열고 아래의 주소에서 마우스 우클릭 보내기를 담당하는 폴더 위치를 찾을 수 있습니다. 사용자 이름은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유저의 이름으로 잘 모르겠으면 탐색기 상단 주소 표시줄에 SenTo를 입력해서 경로를 찾아도 됩니다. C:\Users\사용자 이름\AppData\R..
최신 버전의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그림판은 투명 배경을 지원하기 때문에 잘라내기 등의 작업을 하신 경우 기존과 다른 모습에 당황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예제는 그림판에서 직사각형을 그린 다음 잘라내기로 두 동강내고 붙여 넣기 한 작업 내용입니다. 잘라낸 부분에 나타난 마치 자동차 경주 깃발처럼 작은 회색 사각형이 교차하는 일정한 패턴의 모습은 이 부분이 투명화 되었다는 표시이며 실제의 이미지는 아닙니다. 위의 잘라낸 이미지를 투명화를 지원하는 파일 포맷인 PNG로 저장해 둔 다음 임의의 꽃밭 이미지를 열고 위의 잘라낸 이미지를 그림판의 캔버스로 가져오기 메뉴를 클릭해 불러와 적절히 크기를 조절해 주면 아래와 같은 이미지가 됩니다. 잘라냈던 투명 부분에 아래와 같은 꽃밭 이미지의 일부분이 나타나게 ..
요즘은 배경을 제거해 투명하게 만드는 각종 프로그램들이 나와 각축을 다툽니다. 기존의 방법인 전통적인 포토샵의 누끼 따기부터 루미나 AI, 포토스케이프 등의 전문 그래픽 프로그램에 이르기까지 각종 방법이 존재합니다. 제가 사용할 방법은 기존 윈도우의 기본앱인 그림판 3D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가장 손쉽게 따내며 제법 퀄리티도 있는 흙수저형 따내기입니다. 대부분은 존재하겠지만 그림판 3D가 없는 분들은 작업 표시줄의 MS 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하면 됩니다. MS 스토어에 들어간 다음 그림판 3D라고 검색해서 다운로드하고 설치하면 됩니다. 이제 그림판 3D가 설치되었다면 본격적으로 배경 제거 작업을 설명하겠습니다. 포스팅용 스피커 모양의 투명 스피커 아이콘 이미지가 필요해 다운로드했더니 아래 이미지처럼 바둑판무늬..
그림판으로 투명 도장 이미지를 만들려면 기억할 것이 있는데, 2D 그림판의 경우 투명 배경의 PNG 파일 자체를 지원하지 못하므로 투명 배경 관련 이미지를 제작하려면 3D 그림판을 사용해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그림판 3D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MS 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하면 됩니다. 이제 당신의 PC에 그림판 3D가 설치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설명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1. 도장에 적당한 폰트를 다운로드하여 우클릭한 다음 설치합니다. 제가 추천하는 폰트는 HJ한전서B 또는 공공누리의 안심 공유 글꼴입니다. 안심글꼴 서비스를 이용한 도장 이미지 응용 편 2. 그림판 3D를 열고 상단 메뉴 중 텍스트를 선택하고 우측 창에서 도장용 글꼴을 선택합니다. 3. 도장에 각인할 텍스트..
그림판에 있는 기능 중 잘 알려지지 않은 기능이 컬러 이미지를 흑백으로 저장하는 기능입니다. 그림판에서 임의의 이미지를 불러옵니다. 아래에 샘플 이미지는 저작권이 없는 이미지로 새 이미지입니다. 키보드에서 이미지 속성 단축키인 Ctrl+E 키를 누릅니다. 그러면 이미지에 대한 속성 창이 열리는 데, 파일 메뉴를 누르고 이미지 속성 메뉴를 직접 클릭해도 됩니다. 이미지 속성 창에서는 파일 크기, 해상도 DPI, 인치나 픽셀 등의 단위, 가로 및 세로 크기, 컬러 또는 흑백 등의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창의 오른쪽에 있는 색상 항목에서 흑백을 클릭한 다음 확인을 눌러 줍니다. 그다음 하단의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바로 흑백으로 변환되지 않고 흑백으로 변환하는 작업은 해당 작업을 취소하고 되돌릴 수 없으니 ..
윈도우 그림판 앱의 JPG 화질은 파일 크기와의 관계를 고려해 기본 70%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압축률을 높여서 파일 크기를 줄이면 화질이 떨어지게 되지만 그 차이가 미미해서 화질 70%로 설정해 둔 것으로 보입니다. 단순함을 모토로 하는 그림판 답게 JPG의 화질을 사용자 스스로 조정할 수 있는 옵션은 그림판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예전에는 레지스트리를 수정하여 이 수치를 높일 수 있었지만 현재는 해당 키값이 존재하지 않아 레지스트리 수정은 불가능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그림판에서 저장할때 PNG와 JPG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포맷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JPG와 PNG 둘다 공통적으로 1600만 개의 색상을 처리할 수 있고, 둘 다 압축을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합니다. 하지만 결정적으로 다른 것은 ..
오래된 윈도우 기본 이미지 편집 앱인 그림판은 포토샵 같은 전문적인 편집 툴에 비해 기능은 떨어지지만 간단한 편집에 최적화되어 있어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기본 앱 중 하나입니다. 아래에서는 그림판에서 열린 이미지 파일을 편집후 PDF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 및 PDF 파일을 JPG 등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그림판에서 이미지를 PDF로 저장하기 그림판에서 PDF로 저장할 이미지를 불러 옵니다. PDF로 저장된 이후에는 편집이 불가능하므로 이미지인 상태에서 텍스트 삽입 등의 필요한 편집을 가합니다. PDF를 위한 이미지 상태에서의 편집 작업이 모두 끝났다면 이제 PDF로 저장할 차례입니다. 그림판의 상단 메뉴 중 파일을 클릭한 다음 인쇄를 선택해 줍니다. 인쇄 메뉴에..
블로그를 쓰다 보면 비교 사진 또는 변화 전후의 비교 이미지를 올려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귀차니즘이 지배하는 제 경우에는 보통은 포토스케이프의 이어 붙이기 기능을 이용해 작업하지만 좀 더 정교한 작업이 필요하거나 그림판에서 해야 할 경우에는 그림판에서 작업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1. 그림 속의 그림 만들기 그림속에 그림을 넣고자 하는 경우에 그림판으로 원본 그림을 불러온 다음 속에 넣을 그림을 불러옵니다. 이미지 속에 넣을 이미지를 불러오는 방법은 그림판의 상단 메뉴 아이콘 중 가장 왼쪽에 위치한 붙여 넣기 아이콘을 클릭한 다음 가져오기를 선택합니다. 아래의 파일들은 삽입 예제 연습에 사용해 볼 백그라운드용 이미지와 투명 배경을 가진 꽃 이미지 PNG 샘플 파일입니다. 팝업 창이 열리면 가져와서 이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