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캡처 후 자동저장 단축키인 '윈도우키+Shift+S' 키를 누르면 저장 경로를 묻지 않고 스크린 캡처 후 자동으로 지정된 경로로 이미지가 저장됩니다. 탐색기에서 경로를 살펴보면 주소 표시줄에 '사진>스크린샷' 이런 식으로 경로가 표시됩니다. 하지만 위의 주소 표시줄 경로를 마우스로 클릭해 보면 실제 주소가 보이게 되는 데, 실제 스크린샷 저장 장소인 주소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C:\Users\사용자명\Pictures\Screenshots 해당 저장 경로를 파일 탐색기에서 찾아가고자 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두 가지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한글로 표시되는 저장 경로를 따라가려면 '사진>스크린샷'으로 들어가면 됩니다. 정식 경로로 들어가려면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C:\Users\계정명\..
윈도우는 기본적으로 Winodws search 또는 인덱싱이라는 알고리즘을 가지고 있어 최초에 한해서 폴더 내의 파일 내용을 모두 읽어 들인 다음, 그다음부터는 업데이트되거나 변경된 내용만 색인에 추가하는 방식의 인덱싱을 합니다. 이렇게 하면 인덱싱 기능을 꺼두는 경우보다 오히려 나중에는 더 원활한 사용이 이루어질 수도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폴더를 열 때 느려지는 증상에 대한 여러 가지 선택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인덱싱을 꺼두는 경우 인덱싱은 PC에서 파일 및 기타 콘텐츠를 찾아서 단어와 그 안의 메타 데이터 같은 정보를 분류하는 과정으로 인덱싱 후 PC를 검색하면 구축된 인덱싱 데이터 베이스에서 자료를 찾아오게 되므로, 이 기능을 꺼두고 PC 내에서 검색하는 경우보다 훨씬 빨리 결과를 내놓을..
윈도우의 폴더 정렬 방법은 수정한 날짜와 유형 그리고 내림 차순 정렬 시 뭔가 2% 부족한 모습을 보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많은 양의 이미지와 보관용 폴더를 세분해 둔 다음 모두 하나의 기준 폴더에 넣고 작업을 합니다. 그런데 수정한 날짜, 내림 차순 순으로 정렬하면 파일들이 시간순서대로 정렬되긴 하지만 폴더는 가장 아래로 내려가 버려서 폴더와 파일 간 작업을 자주 들락거려야 하는 입장에서는 여간 짜증 나는 일이 아닙니다. 그럼 본론으로 수정한 날짜, 내림 차순 정렬시 폴더가 최상단에 고정으로 위치하도록 정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폴더나 파일의 시간순 정렬이라는 것은 수정한 날짜를 기준으로 하게 되는 데, 이를 또 다른 날짜 기준인 날짜로 변경하는 것입니다. 변경하기 전의 제 폴더의..
$WinREAgent 폴더 역시 이전에 살펴본 폴더들과 마찬가지로 윈도우 업그레이드 설치 또는 업데이트 도중 생성된 임시 시스템 파일로 삭제해도 무방한 폴더입니다. 이 폴더 또한 기본적으로 숨김 처리되어 있으며 폴더 옵션에서 숨김을 해제해야 볼 수 있는 폴더입니다. 보통 하부 폴더로 Scratch라는 폴더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전의 포스팅에서 윈도우 업그레이드와 관련된 여러 임시 폴더들에 대한 제거 방법들에 관하여 살펴본 것처럼 이 폴더 역시 동일한 방법에 의합니다. 폴더를 마우스 우클릭한 후 삭제하는 것이 가장 간편하며 제거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윈도우 작업 표시줄의 명령 상자에 CMD 또는 명령 프롬프트를 입력하여 관리자 권한의 명령 창을 실행한 후 아래의 명령어를 복사하여 붙여 넣기 합니다. ..
$Windows.~WS 폴더는 윈도우 설치 또는 업그레이드 진행 시 사용하였던 임시 파일들이 보관된 폴더입니다. 기본적으로 이전에 살펴본 폴더들과 마찬가지로 시스템 폴더로 분류되어 숨김 처리되어 있으므로 폴더 옵션에서 숨김 옵션을 해제하여 보이도록 변경하여야 보이게 되는 폴더입니다. 문제는 이 폴더가 심한 경우에는 수 기가에 이를 정도로 공간의 낭비가 심하다는 데 있습니다. 위의 이미지에서 보다시피 하위 폴더에 있는 폴더는 파란색으로 표시되어 있기도 하는 데, 윈도우에서 파란색 폴더는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아 공간 절약을 위해 윈도우 스스로 압축해 놓았다는 표시입니다. 이 말은 역으로 큰 문제가 없다면 정리하라는 색상으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이 폴더는 윈도우 공간 절약을 위해 제거해도 무방한 폴더입니다...
$SysReset 폴더는 사용 중인 현재의 윈도우를 오류 등의 이유로 초기화할 경우 초기화를 마무리하면서 사용했던 오류를 일으킨 윈도우의 정보 및 로그 데이터 등을 .etl이라는 확장자 파일 형태로 보관한 폴더를 말합니다. 내부 구조를 살펴보면 Old Os라는 폴더가 존재하며 이 폴더에 초기화 이전 운영체제 정보가 보관되게 됩니다. 이 폴더 역시 이전 포스팅에서 살펴 보았던 $GetCurrent 폴더와 마찬가지로 숨김 처리되어 있는 시스템 폴더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폴더가 보이도록 하려면 파일 탐색기 상단 메뉴의 보기에 있는 폴더 옵션에서 시스템 파일 및 폴더 숨김 처리 옵션을 해제하여 보이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SysReset 폴더는 기본적으로 윈도우의 재설정, 초기화 등의 실행 이후에 윈..
$WINDOWS.~BT 폴더는 윈도우 7 또는 윈도우 8에서 예전 무료 업그레이드 기간 동안 윈도우 10으로 업그레이드했을 경우에 이전 운영체제의 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폴더입니다. 시스템 파일, 폴더에 속하므로 기본적으로 감춰져 있어, 이 폴더를 보기 위해서는 폴더 옵션에서 감추기를 해제해야 보입니다. 이전 운영체제의 모든 파일들을 통째로 보관하고 있는 Windows.old 폴더와 이전 운영체제의 부팅 정보나 드라이버 정보, 파티션 정보 등을 보관하고 있는 $WINDOWS.~BT 폴더는 이전 운영체제로 복구하고자 할 경우에 가동되는 하나의 세트라고 보아도 무방합니다. 저장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전 운영체제 정보인 Windows.old 폴더를 삭제하는 경우에는 이 폴더 역시 남겨둘 이유는 없습니다. 이..
윈도우즈에서 Onedrive를 사용 중이거나 사용 후 삭제한 경우에 주로 발생하는 오류로 실제로 경고 문구처럼 해당 경로에 있던 파일이 아예 삭제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혹시 파일이 제거되었을지 몰라 걱정하시는 분들을 위해 이 오류의 특성을 먼저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이 오류는 원드라이브와 동기화 문제로 인해 액세스 실패가 발생한 경우에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1. 원드라이브 동기화 일시 중지후 재 로그인 원드라이브가 동기화중에 이러한 오류가 발생한 경우 원드라브의 동기화를 일시 중지한 후 다시 로그인하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작업 표시줄의 알림 영역에 있는 구름 모양의 원드라이브 아이콘을 클릭하고 아무 시간이나 지정한 후 동기화를 일지 중지합니다. 이때, 사용중인 MS ..
네이버 마이 박스는 과거 네이버 클라우드라고 부르던 것이 명칭이 변경된 서비스를 말합니다. 네이버 아이디가 있다면 무료 사용 공간을 30기가나 주므로 구글 드라이브의 15기가, 원드라이브의 5기가, 애플 아이클라우드의 5기가 등을 감안하면 상당히 매력이 있습니다. PC 버전의 경우에 MY BOX 페이지에서 네이버 MYBOX탐색기라는 것을 설치하면 윈도우 파일 탐색기에 MYBOX 메뉴가 추가됩니다. 휴대폰이나 컴퓨터의 내용과 상관없이 폴더를 만들어 폴더만 동기화식으로 클라우드 방식 동기화 공유가 가능하므로 데이터 저장 및 동기화 활용방식도 단순해서 좋습니다. 설치하게 되면 윈도우 탐색기 트리구조 영역에 마치 새로운 하드 디스크 메뉴처럼 자리 잡게 되고 실제 속성은 자신의 클라우드 공간이므로 외부에서 네이버..
윈도우 파일 탐색기에서 보면 좌측의 메뉴에 고유의 아이콘을 가지고 있는 다운로드, 문서, 음악, 동영상, 사진 등의 메뉴가 있습니다. 이러한 메뉴의 윈도우즈 기본 경로들은 모두 폴더 속성에서 위치 탭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다운로드의 기본 경로는 C:\Users\계정\Downloads(사용자\계정\다운로드로 표시되기도 합니다.)입니다. 이게 사용해 보니 블로그 작업을 많이 하는 분들에게는 조금은 유용하더라고요. 왜냐하면 보통 블로그를 하시는 분들은 포스팅에 삽입할 이미지 편집작업도 상당히 하게 됩니다. 그런데 라이선스가 풀린 공유 이미지 등이나 캡처 이미지를 다운로드할 때 이미지 편집 작업을 하는 폴더와 동일하게 하나로 설정한 다음 윈도우 작업 표시줄에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